[SOH] 미국이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한 가운데, 우방국들이 잇따라 동참에 나섰다고 ‘AP통신’ 등이 8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은 지난 6일(이하 현지시간) 백악관 브리핑을 통해 “바이든 행정부는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게임에 어떤 외교·공무 대표단도 보내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보이콧 이유로는 △중국의 지속적인 종족 학살과 △반인도적 범죄 △기타 인권 유린 등을 거론했다.
뉴질랜드도 7일 코로나19 재확산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베이징 동계올림픽 보이콧에 동참했다.
그랜트 로버트슨 부총리 겸 체육부 장관은 “우리는 장관급 대표단을 보내지 않는다는 방침을 정하고 지난 10월 중국 측에도 우리의 입장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로버트슨 총리는 “코로나19와 관련된 안전 우려”가 보이콧 결정의 주된 이유라고 설명했다.
미국과 뉴질랜드에 이어 호주도 중국의 지속적인 인권탄압과 외교 갈등 등을 이유로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공식화 했다.
8일(현지시간) AFP·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중국 정부는 호주를 비롯해 전 세계가 제기한 신장(新疆) 지역의 인권탄압 등 문제에 대해 마땅한 대응책을 내놓고 있지 않다”며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모리슨 총리는 호주 정부가 중국의 지도자들에게 직접 인권 문제에 대한 우려를 제기할 수 없는 점, 중국이 호주에 대한 외교적 '동결 조치'를 취한 점이 보이콧에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호주는 지난해 코로나19 발원지를 규명하는 독립적인 조사를 촉구하면서 중국과 장기간 갈등을 겪고 있다.
일본도 이날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각료를 파견하는 것을 보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사실상의 외교적 보이콧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도쿄(東京)신문은 일본 정부 내에서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한 미국을 배려해야 한다는 인식이 공유되고 있으며 각료를 파견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의견이 대세라고 전했다.
그밖에 같은 영연방 국가인 영국과 캐나다도 외교적 보이콧을 검토하는 가운데, 독일과 프랑스 등은 EU(유럽연합) 차원에서 논의하겠다는 입장이다.
외교적 보이콧이란 올림픽에 선수단은 파견하지만, 정부 사절단을 보내지 않는 것을 뜻한다.
중국은 강력 반발하고 있다.
자오리젠(趙立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7일 "중국은 미국 측의 입장 표명에 강력한 불만과 반대를 표한다"면서 "미국 측에 엄중한 교섭을 제기했고, 단호한 반격을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국 측의 행보는 올림픽 헌장이 확립한 스포츠 중립의 원칙에 어긋나고 단결을 추구하는 올림픽 정신에 위배된다"고 비난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