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화이자-바이오앤텍이 개발한 코로나19(중공 바이러스) 백신 접종 이후 사망사고가 잇따르자 ‘화이자 백신 안정성에 대한 불안이 커지고 있다.
■ 노르웨이, 화이자 백신 접종 후 23명 사망
노르웨이 공중보건연구소는 15일(이하 현지시간) "국내에서 백신을 처음 투여 받은 지 얼마 되지 않아 23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는 성명을 통해 "노르웨이 당국과 협력해 사망자를 조사하고 있다"면서, "지금까지 발생한 사건들은 경고를 내릴 수준은 아니며 예상했던 선"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현재까지 유럽에서 승인된 코로나19 백신들은 수만 명에게 임상시험이 이뤄진 것들이다. 시험 참가자는 80대 후반과 90대의 고령자도 있었지만 평균 50대 초반 연령이었다.
각국은 희생자가 많이 나왔던 요양원 거주자들에게 서둘러 백신을 접종하고 있기 때문에 시험 참가자보다 접종받은 노인층은 대부분 나이가 더 많다.
노르웨이는 약 3만3000명에게 첫 백신을 접종했다. 화이자 백신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모더나도 소량 사용되고 있다.
■ 미 56세 건장한 의사, 화이자 백신 접종 후 혈소판 감소 사망
지난 12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 거주하는 산부인과 의사 그레고리 마이클(56)이 화이자 백신 접종 후 16일 만에 뇌출혈로 사망했다.
NYT에 따르면 백신 접종 3일 후 마이클 박사의 손발에는 작은 반점이 생겼다. 내출혈에 따른 증상이었다. 그는 바로 응급실로 이송됐고, 코로나 백신 반응으로 인한 급성 면역 혈소판 감소증(ITP) 진단을 받았다.
부인인 하이디 네켈만에 따르면 접종 뒤 시행한 혈액검사에서 마이클 박사의 혈소판 수치는 ‘0’으로 나타났고, 그는 즉시 집중치료실로 옮겨졌다. 이처럼 혈소판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낮으면 혈액이 응고되지 않는다.
네켈만은 페이스북을 통해 “남편의 혈소판 수를 늘리기 위해 2주 동안 전국의 전문가들이 노력했지만 소용이 없었다”며, “최후의 수단인 비장제거 수술 이틀 전 혈소판 부족으로 출혈성 뇌졸중을 일으켜 숨을 거뒀다”고 전했다.
NYT는 “사망한 의사는 기저질환이 전혀 없었고 건강하고 활동적이었으며, 약물이나 백신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 적도 없었다”고 전했다.
■ 이스라엘, 포르투갈서도 화이자 백신 접종 후 사망
이스라엘과 포루투갈에서도 화이자 백신 접종자가 사망한 사건이 발생했다.
지난달 29일 이스라엘에서 화이자 백신을 맞은 접종자가 2시간 뒤 심장마비로 사망했고, 다음날인 30일에도 두 번째 사망자가 나왔다.
포르투갈에서도 사망자가 나왔다. 포르투갈 사망자는 40대 여성 간호사로 건강에 전혀 문제가 없었으며, 접종 후 가족들과 함께 식사를 했고, 아무런 부작용을 겪지 않았지만 접종 이틀 후 사망했다.
이러한 백신 접종 안전사고에 대해, 서울 시내에서 한의원을 하고 있는 박모씨(53)는 “한국에 화이자 백신이 들어오면 의료진이 먼저 접종 대상이 될 텐데, 맞아야 할지 고민”이라고 밝혔다.
그는 “아직 백신의 안전성이 확실히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흔쾌히 접종할 엄두가 나지 않는다”며, “특히 미국에서 기저질환이 없는 50대 의사가 접종 후 사망한 것이 충격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백신 접종 이후 3일 만에 혈소판이 ‘제로’로 감소해 전신출혈이 발생했고, 전신출혈 중 뇌출혈이 직접적 사인이라는 것에 놀랐다”고 말했다.
박모씨는 “이렇게 초스피드로 나온 백신은 역사상 처음이며, 백신은 4~5년 동안 부작용이 알려지지 않는다”고도 덧붙였다. / news1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