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의 방사능 오염수를 사실상 방출하기로 결정해 비난과 우려가 쏟아지고 있다.
23일 니혼게이자이신문 등 현지언론에 따르면 일본 경제산업성 내 소위원회는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 때 폭발사고를 일으켰던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의 방사능 오염수에 대한 해양 방출, 수증기 방출 및 이들 두 가지를 병행하는 안 등 3가지 방안을 담은 초안 보고서를 공개했다.
처리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일본 정부가 자국인들과 한국 등 주변국, 전문가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오염수 해양 방출을 결국 단행하기로 한 것으로 해석된다.
오염수 처리의 또 다른 방안으로 검토됐던 전기 분해 후 수소 형태 방출과 지하 매설은 전례가 없고 규제, 기술, 시간적인 과제가 많다는 이유로 제외됐다.
소위는 방사능 해양 방출에 대해 일본 국내 원전에서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다며, 국가가 정한 기준치 이하로 희석해 바다에 흘리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또 수증기 방출에 대해서는 오염수를 고온에서 증발시켜 배기통을 이용해 상공으로 방출하기 때문에 대기중 방사능 오염도는 국가가 정한 기준치를 밑돌게 된다고 주장했다.
오염수는 원자로 내의 용융된 핵연료를 냉각할 때 발생하는 오염수 등에서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불리는 정화장치를 이용해 트리튬(삼중수소)을 제외한 방사성 물질(62종)의 대부분을 제거한 물이다.
그러나 환경단체 등은 처리수라고 하는 오염수에도 인체에 치명적인 세슘-137, 스트론튬을 포함한 방사성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채 남아 있어 방류해선 안 된다고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일본 정부는 오염수를 희석해 바다에 방출하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 부지에는 현재 1000개 가까운 대형 탱크에 약 110만t의 오염수(처리수)가 저장돼 있다. 이 오염수는 하루 평균 약 170t씩 증가하는 상황이어서 후쿠시마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향후 20만t의 저장용량을 증설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 배출 추이로 추산할 경우 2022년 말이면 오염수를 충당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후쿠시마 지역 어민들과 환경단체, 한국 등 주변국은 일본의 무책임한 결정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노자키 데쓰(野崎哲) 후쿠시마현 어업협동조합연합회 회장은 “오염수가 바다에 방출되면 후쿠시마 어업이 다시 커다란 풍평피해(風評被害·소문이나 이미지로 인한 피해)를 받는 것을 피하지 못한다”며 반대 입장을 확인했다.
우리 정부는 지난 9월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서한을 보내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할 가능성, 잠재적인 환경 영향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전한 바 있다.
시민방사능감시센터와 환경운동연합 역시 일본의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출 문제에 대해 지속적인 항의와 대안 제시를 요구해 왔다. 방사능 오염수의 해양 방출은 생태계에 심각한 해악을 끼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들 단체는 “일본 내에서 방사능 오염수를 저장할 탱크를 증설하거나, 시멘트와 모래를 섞어 고형화하는 방법 등 여러 대안이 제시됐으나 일본 정부는 이를 무시해 왔다”며 “그들은 손쉬운 해결책인 해양 방류 계획을 세우기보다 후쿠시마 어민들과 우리나라 등 주변국들에 피해를 최소화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체는 이어 “방사능 오염수 방류는 인류에게 씻을 수 없는 죄를 짓는 일”이라며 일본 정부가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출을 포기할 것을 촉구했다.
한지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