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미 연방정부가 구글의 반독점을 조사 중인 가운데, 미국의 주와 자치령 등 50곳도 구글의 반독점법 위반 혐의를 조사하기로 했다.
이번 조사에는 캘리포니아주와 앨라배마주를 제외한 나머지 48개 주와 워싱턴DC와 미국 자치령인 푸에로토리코 법무장관 등이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이번 조사를 이끄는 켄 팩스턴 텍사스주 법무장관은 워싱턴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구글의 광고시장 지배력과 소비자 데이터 이용 관행을 집중적으로 수사할 것”이라며 조사에 필요한 자료제출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각 주정부는 검색시장을 90% 점유하고 있는 구글이 자사 광고 플랫폼 고객사와 타사 광고 플랫폼 고객사를 차별하며 경쟁사에게 불공정한 사업환경을 조성했는지 여부를 조사해 관련 행위가 발견될 경우 제소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WSJ은 구글은 매출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자사 알고리즘을 타사 및 대중에 공개하거나 유튜브 등 자회사를 분리해야 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구글은 그동안 온라인 광고시장을 독점하고 있다는 비판을 지속적으로 받아왔다. 시장조사기업인 e마케터의 추정에 따르면 구글은 세계 디지털 광고시장의 31.1%를 점유하고 있다.
기자회견에 참가한 애슐리 무디 플로리다 검찰총장은 구글의 서비스가 갈수록 고객들로부터 많은 정보를 요구한다면서, 소수 IT 기업의 온라인 광고시장 독과점이 방치된다면 광고비용이 올라 결국 소비자가 그 비용을 부담하는 피해를 입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주 정부 외에 미 연방정부에서도 IT 기업들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미 법무부는 구글에 대한 반독점 수사를 별도로 추진할 예정이며, 연방거래위원회(FTC)도 지난 7월부터 페이스북에 대한 반독점 조사를 진행 중이다.
더그 피터슨 네브라스카 검찰총장은 “영국, 프랑스, 호주, EU 집행위가 이 사안을 지켜보고있으며, 이는 이 문제가 매우 중요하다는 의미”라면서 미 법무부를 비롯한 해외 사법당국과의 협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구글에 대한 조사는 광고 및 검색 사업을 중심으로 진행될 예정이지만 향후 대상 범위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글은 이미 미국 법무부와 연방무역위원회(FTC) 등의 반독점 조사에 직면한 상황이어서 이번 주 정부들의 가세는 이들 회사에 추가적인 압박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정진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