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이 미국의 대중(對中) 추가관세에 대한 보복으로 추가관세 부과를 예고한 데 대해 미국이 다시 관세율 인상으로 맞서면서 양국의 무역전쟁이 한 치 앞을 예측하기 어려운 전면전으로 치닫고 있다.
23일(현재시간) 중국 언론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원유와 대두 등 5천78개 품목 75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대해 10%와 5%의 관세를 각각 9월 1일, 12월 15일부터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또 이와는 별도로 관세 면제 대상이던 미국산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12월 15일부터 각각 25%, 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3천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의 10% 관세 부과 방침에 대한 보복조치로 여겨진다.
미국은 이미 2천500억달러의 중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나머지 3천억달러 제품에 대해서도 9월부터 10%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지만 휴대전화와 랩톱, 비디오게임 콘솔, 특정품목의 장난감과 신발 및 의류, 컴퓨터 모니터 등 일부 품목의 관세 부과 시기를 12월로 늦춘 바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중국의 보복 관세조치 예고에 즉각 반격에 나섰다.
그는 트윗을 통해 기존에 부과해오던 2천5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현행 25%에서 10월 1일부터 30%로 올리고, 또 9월 1일부터 부과키로 했던 나머지 3천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도 당초 10%에서 15%로 올리겠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함께 미국 기업들을 상대로 중국에서 운영 중인 공장을 폐쇄하고 미국에서의 생산량을 증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트윗에서 “우리는 중국이 필요 없다. 그리고 솔직히 그들이 없다면 훨씬 더 나을 것”이라면서 “우리의 위대한 미국 회사들은 즉시 중국에 대한 대안을 찾기 시작하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회사를 미국으로 다시 되돌아오게 하고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예로 들었다.
그는 다만 어떤 명령을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하지만 법적으로 당장 미국 기업들이 중국에서 철수하도록 강요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중국에서 생산되는 주요 상품에 대한 생산지 이전은 몇 년이 걸리고 비용도 많이 들 수 있다.
미국 상공회의소는 미국 기업들이 즉각 중국 내 사업장 운영에 대한 대안을 찾기 시작하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를 거부했다.
마이런 브릴리언트 미 상공회의소 국제담당 부대표는 성명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좌절은 공감한다"면서도 "지속적이고 건설적인 포용정책이 앞으로 나아가는 올바른 길이라고 생각한다"며 양측이 신속하게 무역협정을 체결할 것을 촉구했다.
미중은 지난달 말 상하이에서 열린 고위급 무역협상에서 9월 워싱턴DC에서 무역협상을 이어가기로 했지만, 이번 충돌로 협상 동력이 좌초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박정진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