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한국에 대한 일본 정부의 반도체 핵심 소재 수출 규제로 국내에서 일본산 제품 보이콧 등 반일 감정이 고조되는 가운데, 일본에서 ‘후쿠시마산 식재료’와 ‘방사선 검출 토양’가 불거져 일본에 대한 국민들의 반감이 한층 커질 것으로 보인다.
■ 도쿄 관광지 공원 토양... ‘방사선 관리구역’ 수준으로 오염
‘진실을 위해 핫스팟을 조사하는 사람들’(Hotspot Investigators for Truth·이하 HIT)을 운영하는 일본 블로거가 19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도쿄도(東京都) 가쓰시카구(葛飾区)에 있는 미즈 모토공원(水元公園) 내 흙에서 ‘방사선 관리구역’ 수준에 해당하는 방사능 오염 수치가 측정됐다.
이 자료는 HIT가 지난 2월 17일부터 5월 19일까지 미즈모토 공원 내 일부 지역 토양 샘플 15개와 핫스팟의 검체 34개를 채취해 각각 방사능 오염도를 측정한 결과다. 이 공원은 8년 전 동일본 대지진으로 폭발사고가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에서 직선거리로 약 200㎞ 이상 떨어진 도쿄 인근에 위치해 있다.
또 도쿄 관광 공식 사이트에 추천 관광지 중 하나로 등재돼 평소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
조사 결과 공원 내 15곳 중 4곳의 흙에서 '방사선관리구역' 기준인 1㎡당 4만 베크렐(4만 Bq/㎡) 이상의 수치가 나왔다. 이 가운데 한 곳은 7만7000 베크렐이 측정됐다.
반핵의사회에 따르면 통상적으로 방사능 수치가 4만 Bq/㎡ 이상일 경우 방사선 관리구역으로 분류된다. 임산부나 어린이의 출입이 금지되며, 18세 이하의 노동이 금지되고 취식과 화장 등이 금지된다.
이에 대해 일본과 해외 네티즌들은 놀라움과 충격을 나타내며 “일본 전 지역이 방사능 오염에서 안전하지 않은 것이 아니냐”, 내년에 예정된 “도쿄올림픽을 중지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 日 정부, “도쿄올림픽에 후쿠시마산 식재료 사용하겠다”
일본 정부가 내년(2020년) 여름에 예정된 도쿄올림픽에서 선수단 식단에 후쿠시마산 쌀 등 식재료를 사용할 것으로 알려져, 비난과 우려가 커지고 있다.
23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는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김의중 전 동국대학교 의대 교수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 같이 보도했다.
김 전 교수에 따르면 후쿠시마에서는 원전사고 후 3~4년 후부터는 쌀 생산을 재개했지만 재배지의 제염방법을 농토를 5~10cm 걷어내는 것에 그치고 있어 피폭에 대한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이 지역에 대한 농산물에 대한 ‘식용 방사능 기준치’가 대폭 상향 조정된 것도 문제다.
김 전 교수는 ”기준치 이하가 되면 농사를 하는 건데, 그 기준치가 굉장히 높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사람이 먹는 음식 방사능 기준치를 20배 올려버렸다“고 지적했다.
김 전 교수는 일본 정부의 이 같은 안일한 방사능 오염 기준 관리에 대해, ”방사능에 오염된 식품은 암과 유전병 발생 위험이 높지만 일본 국민들은 정부의 속임수로 (중대한) 피폭 위험에 처해있다“고 지적했다.
일본의 ‘반도체 수출 규제’로 반일 감정이 고조된 국내에서는 ‘후쿠시마산 식재료’와 ‘방사선 검출 토양’ 문제와 관련해, 지난 19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2020년 도쿄 방사능 올림픽, 선수들 보호차원에서 출전을 중단시켜달라는 청원이 올라왔다.
권민호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