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가 각국에서 제기돼 온 군부 유착설에 대해 강력히 부인해왔지만,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2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중국의 학술 및 산업 전문 정기간행물과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에서 화웨이 임직원이 저자로 표기된 논문들을 분석해, 화웨이의 일부 직원들이 지난 10여년간 중국 인민해방군의 AI(인공지능)와 무선통신 등 10여개의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해왔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화웨이의 직원들은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의에 대해서는 온라인 영상 코멘트 추출 및 감정별 분류 작업을 도왔고, 중국 국방과학기술대학과는 위성사진과 지리학적 좌표들을 수집 및 분석하는 업무에 협력했다.
통신은 “기술 기업과 군 관련 기관의 협업은 다른 국가에서도 흔하지만 화웨이는 그간 중국군과의 관련성을 계속 부인해 온 점에서 이번 사안이 주목받고 있다”며, “이번 사안을 통해 중국 최대 기술회사 직원들이 중국 인민군과 장기간 다수의 군사적, 안보적 문제에 관계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는 이번 보도에 대해 해당 논문들이 화웨이가 중국군과 연계돼 있는지 또는 직원 개인의 연구 참여에 불과한지는 확실치 않다고 덧붙였다.
화웨이 측은 블룸버그의 주장에 대해 군과의 관련 여부를 다시 한 번 부인했다.
화웨이 측은 “우리는 군을 위해 어떠한 작업도 하고 있지 않는다”면서, 직원들의 개별적인 연구 활동에 대해서는 관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블룸버그의 이번 보도는 코앞으로 다가온 일본 오사카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의 미중 정상 회담을 앞두고 나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화웨이 제재 수위가 더 거세질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15일 외국산 네트워크 장비·서비스를 제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고 미 상무부는 화웨이 및 68개 계열사를 거래제한 기업으로 지정하고 자국 내 정보통신 공급망에 대해 150일간 조사에 들어갔다.
곽제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