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미국이 중국 수입품 전체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 위한 마무리 작업을 시작했다.
16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17일부터 25일까지 3천억 달러(약 355조9천500억원)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두고 공청회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USTR은 공청회가 끝난 이후 일주일 동안 의견을 서면으로 접수하는 방식으로 의견수렴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번 관세 부과는 지난달 미중 무역협상이 성과 없이 종료됨에 따라 미국이 그간 고율관세의 적용을 받지 않았던 중국산 수입품 약 3000억 달러(한화 약 353조원)규모에 대한 관세 인상 절차에 착수한 데 따른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앞서 지난달 미중 협상과 관련해,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3천250억 달러(약 385조5천800억원)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25% 관세를 물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USTR은 지난달 10일(현지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약 3천억달러 규모의 남아있는 대중국 수입품에 대해서도 관세를 부과하는 절차를 개시하도록 명령했다”고 밝혔다.
WSJ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공청회가 끝난 뒤 USTR에 관세부과를 지시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관세가 시행될 경우 미국으로 수출되는 중국산 제품 전체에 25%의 관세가 부과되는 셈이어서 경기둔화에 시달리고 있는 중국 제조업에 다시 충격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작년에 미국이 중국에서 수입한 상품의 규모는 5천396억7천560만 달러(미국 통계청 집계)로, 현재 중국 제품의 절반 정도가 미국에서 고율 관세에 노출돼 있는 셈이다.
이번 관세 부과 여부는 이달 28∼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중 예정된 미중 정상간 협상 결과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지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