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미국이 중국의 차세대 통신기술(5G)에 대한 경계를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주요 동맹국들에 대해 이에 대한 주의를 설득하고 나섰다.
2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최근 화웨이 장비를 사용 중인 독일, 이탈리아, 일본 등 동맹국에 중국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가 생산한 장비 사용에 대한 주의 및 경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불법 정보수집’, ‘통신 불능화’ 등 사이버안보 우려 가능성이 높다는 게 그 이유다.
미 정부 관리들은 이들 동맹국 관리 및 통신업체 임원들에게 이 같은 내용을 전달했다. 하지만 LG유플러스를 통해 화웨이 5G 도입이 확정된 한국은 미국의 이번 설득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통신 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 이동통신)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 등은 “미 정부로부터 화웨이의 사이버 보안 우려와 관련한 내용을 전달받은 적이 없다"고 밝혔다.
현재 세계 각국의 무선, 인터넷 제공업체들은 5G 구축을 위해 관련 장비의 구입을 준비하고 있다.
화웨이 창업자인 런정페이(任正非) 현 CEO는 전 중국 인민해방군 엔지니어 출신이다. 화웨이는 창립 당시부터 군 자본의 기업과 거래하고 있으며, 지금도 군과 각종 장기 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워싱턴에서 중국의 군사동향을 연구하는 민간 싱크탱크 ‘국제평가전략연구센터’의 리처드피셔 연구원은 이 두 기업에 대해 “중국 공산당의 지배력 강화를 위해 취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사용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안보 전문가 베이츠 길 시드니 맥커리 대학 교수는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5G 네트워크의 내부 정보는 에너지망, 교통, 수도, 금융, 은행 서비스 등 모든 기밀 정보가 포함돼, 거기에 접근할 수 있는 통신사가 시스템을 혼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며, “중국 공산당은 기업과 시민에게 당과 정부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도록 강요한다”고 덧붙였다.
박정진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