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각종 외교 문제와 분쟁에서 독단적 주장과 보복을 일삼아 온 중국이 계속되는 미국의 관세 강공에 풀이 꺾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미중 무역 분쟁은 지난 4월 미 행정부가 국가안보 위협 등을 이유로 500억 달러어치의 중국산 첨단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시작됐다. 미국의 발표에 중국도 즉각 같은 규모로 보복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보복에 나설 경우, 더 큰 규모의 관세 응징이 뒤따를 것이라고 시사했다.
지난 6일 미국은 예정대로 500억 달러의 중국산 제품 중 먼저 340억 달러어치에 25%의 관세 부과를 발효했고, 중국도 같은 규모로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보복에 들어갔다.
지난 10일(현지시간) 미 무역대표부(USTR)는 중국산 제품 2000억 달러(약 225조원) 규모에 추가 관세 10% 부과 계획을 발표했다. 앞서 밝힌 대로 중국의 보복에 대한 응징에 나선 것이다.
이에 중국은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 반격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강력히 맞섰지만, 다음날인 11일 “문제는 대화로 풀어야 한다”며 유화적인 제스처를 취했다.
중국은 지난 수개월 간 미국과의 무역 갈등에 대해 “한 치의 이익도 양보할 수 없다”는 강경한 자세를 일관해왔다.
중국의 태도 변화에 대해 전문가들은 “미국의 대중 수입 규모는 5056억 달러에 달하지만 중국의 대미 수입은 1300억 달러에 불과해 동등한 규모의 관세 부과가 불가능하기 때문”일 것으로 분석했다.
미국이 예고한 2000억 달러 규모의 관세 부과는 대중 수입액의 약 절반에 해당하기 때문에, 중국의 입장에선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해도 미국의 공격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중국은 그동안 주변국들과의 남중국해·동중국해 분쟁,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 갈등, 유럽과의 인권문제 등에서 경제 보복을 앞세워 독단적인 주장을 고수해왔지만, 미국과의 싸움에선 ‘자유무역 및 다자 무역체제 수호’, ‘무역 패권주의 반대’ 등을 외치며, 전혀 다른 태도를 취하고 있다. (사진: NEWSIS)
권성민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