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기후변화와 관리 부실 등으로 세계 각 국에서 ‘물 부족’ 위기가 촉발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지난달 11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은 미국에 본부를 둔 환경연구기관 세계자원연구소(WRI)의 보고서를 인용해 모로코와 스페인, 이라크, 인도 등이 심각한 물 부족을 겪고 있으며, 기타 수십여 개국도 비슷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밝혔다.
이번 경고는 WRI가 네덜란드 정부와 협력사가 세운 ‘델타레스’와 ‘수자원 안보 조기 경보 시스템’을 공동 구축해, 최악의 물 부족을 겪고 있는 이들 4개국에 대한 상황을 조사한 데 따른 것이다.
이 시스템은 미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의 인공 위성으로부터 전 세계 50만개 댐의 모니터링 정보를 수집해, 물 부족으로 인한 사회 불안과 경제적 피해, 이민 예측 등을 분석한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모로코에서 두 번째로 큰 알마시라댐은 가뭄에 가까운 저조한 강우량으로 3년 만에 저수량이 60%나 감소했다. 이 댐은 앞서 고갈된 적도 있다. 이로 인해 당시 곡물 생산량이 절반으로 줄고 주민 70만명이 급수난을 겪었다.
강우량 감소 외에 관개 시설의 확장과 카사블랑카 등 인접 도시들의 물 부족도 저수량 감소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고 WRI는 밝혔다.
이라크의 모술댐도 강우량 감소,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강 상류의 터키 수력 발전 프로젝트로 인한 물 수요 급증 등으로 현재 저수량이 1990년대 저수량의 60% 수준으로 줄었다. WRI는 시리아인들이 내전으로 정착지를 국경 부근으로 옮기면서 이라크와 시리아 사이의 수자원 분쟁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최악의 가뭄이 발생한 인도에서는 나르마다강과 이어진 저수지 두 곳의 저수량이 크게 낮아지면서 ‘물 배분’에 대한 지역민들 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현재 인디라사가르댐 상류의 저수량은 계절 평균의 30%까지 급감해 지난달 구자라트 주정부는 이 지역에 대한 농작물 경작을 중지시켰다.
스페인의 부엔디아댐도 지난 5년간 심각한 가뭄 등으로 저수량이 60% 가량 감소했다. 스페인은 국내총생산(GDP)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3% 미만으로 농업에 대한 의존도는 낮지만, 저수량 감소 여파로 수력 발전량이 줄면서 전기요금이 인상됐다.
WRI는 “이들 댐 외에 각 국의 기타 댐에 대한 조사도 진행 중이어서 더 많은 ‘물 부족’ 사례가 확인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관련 결과는 올 연말 공개될 예정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케이프타운은 지난 2월 도시 전체의 수도꼭지를 잠그는 ‘데이 제로’ 카운트 다운에 돌입한다고 발표했다. 3년간 혹독한 가뭄을 겪은 데 따른 결과다. 발표 이후 1인당 사용량 제한 등 물 절약으로 인해 데이 제로 시행일이 예정보다 늦춰지곤 있으나, 머지않아 물 공급이 중단되는 사태를 피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WRI는 “세계 여러 곳에서 기후변화와 물 수요 증가 등의 영향으로 머지않아 케이프타운과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곽제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