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27일 진행된 ‘2018 남북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올해 안에 종전을 선언하기로 합의했다.
두 정상은 이날 오후 6시경 판문점 평화의 집 1층에서 판문점 선언에 서명한 뒤, 평화의 집 앞마당에서 이번 회담의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선언문에서 “평화를 바라는 팔천만 겨레의 염원으로 역사적인 만남을 갖고 귀중한 합의를 이뤘다. 한반도에 더 이상 전쟁은 없을 것이며 새로운 평화의 시대가 열리고 있음을 함께 선언했다”며, “긴 세월 동안 분단의 아픔과 서러움 속에서도 끝내 극복할 수 있다고 믿었기에 우리는 이 자리에 설 수 있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또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종전선언과 평화협정을 통해 한반도의 불안정한 정전체제를 종식시키고 항구적이고 공고한 평화체제를 구축해 나가기로 합의했음을 알리고, 대담하게 오늘의 상황을 만들어 내고 통 큰 합의에 동의한 김정은 위원장의 용기와 결단에 경의를 표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선언을 계기로 김 위원장과 서로에 대한 굳건한 믿음으로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해 정기적인 회담과 직통전화를 통해 수시로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특히 무엇보다 “지금까지 정상회담 후 북측의 최고지도자가 직접 세계의 언론 앞에 서서 공동 발표를 하는 것은 사상 처음인 것으로 안다”며, 김 위원장이 대담하고 용기있는 결정을 내려준 것을 치하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선언문 발표를 통해 이날 남북정상회담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많은 노고를 받친 문재인 대통령과 남측 관계자, 한 민족의 따뜻한 정을 더해준 남녘 동포들에 감사 인사를 전했다.
김 위원장은 “정작 마주서고 보니 북과 남은 역시 서로 갈라져 살 수 없는 한 혈육이며 그 어느 이웃에도 비길 수 없는 동족이라는 것을 가슴 뭉클하게 절감하게 되었다”며, “이토록 지척에 살고 있는 이들은 대결하여 싸워야 할 이민족이 아니라 단합하여 화목하게 살아야 할 한 핏줄을 이은 한 민족”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이 시대에 우리가 민족의 화해 담합과 평화번영을 위하여 반드시 창조해야 할 모든 것, 창조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완전무결하게 해 놓음으로서 자기 역사적 책임과 시대적 의무를 다해 나가야 할 것”이라며, “그 길에는 외풍과 역풍도 있을 수 있고 좌절과 시련도 있을 수 있다. 고통이 없이 승리가 없고 시련이 없이 영광이 없듯이 언젠가는 힘들게 마련되었던 오늘의 이 만남과 그리고 온갖 도전을 이겨내고 민족의 진로를 손잡고 함께 헤쳐간 날들을 즐겁게 추억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날 이루어진 두 정상 간의 만남과 행보에 이어 오후에 발표된 이같은 내용의 공동선언문은 국내외에 뜨거운 감동과 환희를 안겼다.
세계 외신들은 종전선언과 한반도 비핵화 의지를 담은 판문점 선언을 신속히 타전하며, 기쁨과 기대를 나타냈다.
AFP 통신은 “두 정상이 한국전쟁 종전 선언 하고 평화체제를 구축하기로 합의했다”며, “문재인 대통령이 올 가을 평양을 방문하게 됐다”고 전했다. 이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방북 이후 11년 만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로이터 통신과 CNN도 “남북 정상이 한반도에 대한 완전한 비핵화 목표에 합의했다”, “남북이 종전 협정에 합의했다”는 내용 등을 속보로 타전했다. (사진: NEWSIS)
곽제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