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한·중 정상회담이 개최된지 닷새만인 19일부터 한국행 단체광광을 다시 금지됐다. 중국 국가여유국이 지난달 28일 회의를 통해 베이징과 산둥지역에 한해 일반 여행사들에게 한국행 단체관광을 허용한 이후 불과 3주 만이다.
지난 20일 중앙일보에 따르면 중국이 잠시 재개했던 한국행 단체 관광을 3주 만에 다시 봉쇄하고 이를 각 여행사에 통보한 사실이 확인됐다. 로이터 통신 등 일부 외신도 중국 현지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당국이 최근 재개됐던 한국 단체 관광을 다시 금지시킨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국내 언론과 여행업계 소식통에 따르면 다수의 중국 전담 여행사 관계자들은 19일 오후 베이징과 산둥성 여행사들로부터 20일부터 한국행 단체 비자가 막힌다는 통보를 받았다. 실제로 베이징 여유국은 이미 지난 19일부터 여행사로부터의 단체관광 승인 신청을 일체 받지 않고 있으며, 관내 여행사들의 문의에 “단체 비자 접수를 불허한다”는 방침을 통보했다.
산둥(山東)성도 20일 관내 칭다오(靑島)와 옌타이(煙台) 등 지역별로 관내 여행사들을 소집해 회의를 개최하고 “내년 1월 1일부터 한국행 여행을 전면 금지한다”고 통보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지침은 별도의 통보가 있을 때까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중국 외교부는 20일, 한국 단체 관광 재금지 조치를 전면 부정했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한국 단체 관광이 재차 금지됐다는 말을 들어보지 못했다”고 밝혔다.
화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양국이 각 분야에서 교류와 협력을 강화하는데 적극적이고 개방적인 태도를 갖고 있다”며, “한국이 우리와 함께 양국 교류·협력에 양호한 조건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해 줄 것을 바란다“고 밝혔다.
중국은 지난해부터 한국의 사드 배치에 대한 보복으로 한한령을 발효해왔지만 한 번도 공식적인 입장은 밝히지 않았다. 실제로 중국 당국이 한국행 단체 관광을 금지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왔던 지난 3월에도 중국 당국은 각 여행사 측에 공식적으로 공문을 보내지 않고, 구두로만 통보했다. 이로 인해 중국은 ‘한국 단체 관광 금지’를 포함한 한국에 대한 전 방위적 사드 보복 사실을 단 한 번도 인정하지 않았다.
한중이 정상회담을 통해 관계 개선을 진행키로 한 상황에서 이 같이 조치한 중국의 의도가 아직 파악되지 않는 것도 문제가 되고 있다.
리 총리는 앞서 지난 15일 문 대통령과의 회동에서 중국 측이 사드 문제를 이유로 한국을 향해 전 방위적으로 가했던 ‘보복 조치’를 사실상 철회할 것과 양국 경제·무역 부처 간 소통 채널을 재가동하고 그동안 중단됐던 다양한 협력 사업들을 재개할 것을 약속한 바 있다.
리 총리는 당시 회동에서 한국이 내년 2월 개최하는 평창동계올림픽과 중국이 2022년 개최하는 동계올림픽을 고리로 관광교류 활성화와 관련해 ‘평창올림픽 개최기간 많은 중국인 관광객들이 한국을 방문할 것’이라고도 밝힌 바 있다.
사드 보복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이 같은 중국의 조치에 우리 정부가 항의하거나 대응책을 마련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일방적인 관광교류 거부는 외교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공식 문서로 증거를 남기는 것을 피하기 위해 ‘구두’로 지시하는 꼼수를 부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사회주의 국가의 특성을 활용해 공식 문서를 남기지 않는, 일종의 보복 조치다.
주중 대사관은 20일 오전까지만 해도 베이징의 일부 여행사에 한한 조치일 것으로 봤으나 산둥성 회의 소식이 전해지면서 전면적이고 일률적인 조치인 것으로 드러났다.
주중 대사관은 이번 조치가 ‘전면 재중단의 신호’이거나 ‘한국 관광을 부분 허용하되 완급을 조절하는 것’일 가능성 등에 대해 파악 중이다. (사진:NEWSIS)
곽제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