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서옥림(徐玉琳)
[SOH] 재물이란 본시 사람을 구제하는데 쓰는 것이다(財以濟用). 천하에 재물이 필요하지 않은 사람은 아무도 없지만 그렇다고 그것에 미혹되어선 안 된다. 가령 너무 인색하여 동전 한 푼도 쓰려고 하지 않는다면 황금(金)을 산더미처럼 쌓아놓은들 스스로 향유하지도 못할 것이다.
때문에 선인들은 “만약 재물에 인색하고 보배를 아낀다면, 수많은 신선(神仙)들은 당신을 탐탁찮게 여길 것이다.”라고 말했다. 하물며 돈과 재물이란 몸 밖의 물건이라 태어날 때 가져올 수 없고 죽을 때 가져갈 수 없는 것이다!
나는 예전에 집을 자신의 목숨처럼 아끼던 환자를 본 적이 있다. 그는 병이 아주 깊이 들었음에도 여전히 집을 지키는 노예처럼 굴었는데 죽기 직전까지도 여전했다.
제(傑 Jie)는 큰 저택을 한 채 구입했는데, 비록 풍경은 아주 아름다웠지만 지세(地勢)가 험준했다. 그는 온갖 수단을 다 동원해 자신의 저택이 산비탈에서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게 보전하려고 애썼다. 하지만 불행히도 한동안 연일 음울한 비가 내렸다. 빗줄기는 때로는 굵어졌다가 때로는 가늘어져 계속해서 내렸다.
산비탈에서 돌덩이나 진흙이 밀려 내려와 그의 저택을 덮치기 직전이었는데, 그 결과는 생각하기도 끔찍한 것이었다. 할리우드 영화를 보면 산비탈에서 집이 미끄러지는 장면이 나오지만, 그것은 대부분 조작된 화면이다. 하지만 이 집은 정말 위험한 상황이었다. 때문에 엽기적인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이 쓰러져 가는 불안정한 집을 촬영하려고 카메라를 설치해 놀라운 장면을 찍으려 했다. 이런 사람들 중에는 전에 그의 집에서 살다가 쫓겨난 세입자도 있었는데, 그는 악의적으로 재난을 즐기기 위해 구경하러 온 것이다.
제는 집을 마련하기 위해 빌린 대출금과 이자를 갚기 위해 동전 한 푼까지 아끼기 위해 생활비를 크게 줄여버렸다. 그는 또 세입자를 따라다니며 화장실 불을 끄곤 했고 늘 제대로 익히지 않은 음식을 먹곤 했는데 결국 온몸에 병이 들어 병원을 찾아왔다. 그러고도 진료비를 지불하기 아까워 의사에게 치료기간과 비용을 반으로 줄여달라고 요구했다.
그는 집 때문에 늘 근심과 걱정에 휩싸였다. 한의학에서는 생각이 너무 많으면 비(脾, 역주 : 한의학의 오장 중 하나로 위와 더불어 음식물의 소화를 주관하는 장부이자 오장의 조절자 역할을 한다)가 손상된다고 말하는데, 근심과 걱정은 그로 하여금 기(氣)를 쇠약하게 만들었다. 비가 손상되면 육부(六腑) 중에서 비와 짝이 되는 위(胃)도 망가지며 이로 인해 음식생각이 없어진다.
그는 언제고 집이 무너져 내릴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떨며 늘 좌불안석이었으며 매일 매일 공포 속에서 살아야했다. 한의학에서는 두려움과 공포가 오장 중에서 신(腎)을 손상시킨다고 본다. 이는 그야말로 일이 닥치기 전에는 우환이 끊이지 않고, 일이 닥친 후에는 공포가 끊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렇게 오랫동안 불안한 생활을 한 것이 그의 병을 키운 원인이었다. 그가 나를 찾아왔을 때는 이미 병이 아주 깊은 상태였다.
결국, 며칠 연속으로 큰 비가 내리던 어느 날, 그는 소방대원들의 강력한 경고 하에 어쩔 수 없이 집을 떠나야 했다. 그는 집밖에 서서 자신이 먹을 것과 입을 것을 아껴가면서 어렵게 마련한 그토록 소중한 집이 산비탈에서 미끄러지면서 무너져 내리는 장면을 목격하게 되었다. 나중에 집은 완전히 무너져버려 나무 조각과 진흙더미로 변해버렸다. 그는 하늘을 저주하며 고통과 번뇌에 휩싸였고 며칠 지나지 않아 직접 하느님을 만나 억울함을 하소연하려는 듯이 저 세상으로 떠나버렸다.
그는 이 모든 것이 다 자신의 소유라고 여겼지만, 사실 그의 운명(命)에는 없었다. 게다가 지구상의 일체는 종래로 그 무엇도 어느 한 개인의 소유물이었던 적이 없다. 사람 몸(人身)도 마찬가지로 잠시 빌려 입는 의복에 불과할 뿐이다. 만약 정말로 죽은 후에도 사람 몸을 가져가고 싶다면 수련(修煉)을 하는 외에는 방법이 없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인생이란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는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에 불과한 것이다. 나중에 정신을 차리고 후회해도 소용이 없다.
[ 對중국 단파라디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