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04(금)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고대인들도 천체를 관측했다

편집부  |  2009-11-11
인쇄하기-새창


[SOH] 우리는 3백 여 년 전 이탈리아의 갈릴레오가 망원경을 발명하여 최초로 인류의 천체 관측 기초를 열어주었다고 알고 있다.

 

그러나 페루의 이카( ICA) 박물관에 소장된 기원전 1000년 ~ 3만 년 전으로 추측되는 돌에는 망원경을 들고 유성을 관찰하고 있는 사람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

 

언제 누가 이와 같은 망원경을 발명했을까? 거기에 대해서는 이론이 분분하다.

 

페루 리마 대학의 카브레라 (Cabrera) 박사가 소장한 돌에는 위의 천체관측 그림 이외에 장기 이식수술, 수혈, 제왕 절개 수술, 공룡에 쫒기는 사람의 모습 등도 새겨져 있다.

 

스페인의 편년사에도 잉카 고묘에서 발견된 이런 종류의 돌에 대한 기록이 있다. 일부 과학자는 그 연대가 기원전 800~ 기원 200년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사람과 공룡이 함께 생활하는 모습으로 미루어 볼 때 아마도 그것은 더욱 먼 시기일지도 모른다.

 

이카( ICA) 박물관에 소장된 돌들은 아프리카의 도곤(Dogon) 부족의 천문지식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도곤인은 서아프리카 말리 남부의 반디아가라(Bandiagara) 지역에 사는 부족으로 유목생활과 경작을 함께하며 생활하고 있다. 그들은 문자가 없으며 지식은 구전되어오고 있다. 이 마을에 4백 여 년 동안 전수된 종교 교리 중에는 천문학자가 말하는 ‘시리우스의 동반성’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

 

도곤인에 의하면 시리우스는 큰 별과 작은 별로 구성되어 있고 작은 별은 크기는 작지만 중량은 무거우며 큰 별을 타원 궤도로 돌고 있다고 한다.

 

노인 한 분이 지팡이로 지면에 두 별의 운행노선을 그렸는데 현대의 천문학자가 그린 운행노선과 유사했다. 뿐만 아니라 그들이 의식을 거행할 때 쓰는 마스크와 술잔에는 이와 유사한 천체 운행도가 그려져 있었다.

 

이 사실에 과학자들은 경탄했다. 이성체는 매우 어두워 육안으로는 볼 수 없으며 대형망원경이 발달된 19세기에야 비로소 관찰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그들의 선조들이 수준 높은 천문지식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대의 위성사진 지도

 

1959년 미국은 인공위성으로 우주를 찍은 사진을 수신하는데 성공했다. 이 사진은 기대에 미치지는 못했지만 인류의 과학이 처음으로 1만 7천마일 상공에서 관찰한 지구의 모습을 보여준 것에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그 얼마 후 인공위성으로 카이로 상공에서 지구를 촬영했다. 한 과학자가 이때 찍은 사진과 터키 해군사령관 레이스(Piri Reis)가 16세기 초 여러 장의 지도를 맞붙여 제작한 고대지도를 비교해 보니 거의 알치 했다.

 

뿐만 아니라 남극의 산맥은 수백 년이래 빙산에 뒤덮여 있어 1952년 지진파 기기의 도움으로 그 산맥의 위치를 겨우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 한 장의 고지도에는 이미 남극대륙의 모습이 명백하게 그려져 있었다.

 

이 외에도 미국, 아프리카 대륙의 윤곽과 경도, 위도가 정확히 그려져 있어 많은 과학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이 지도는 여섯 장의 원시지도를 합성한 것이다.

2. 이 원시지도는 현재의 평면기하 기술과 유사하게 만들어졌거나, 그에 버금가는 제작기술을 갖추고 있다.

3. 지도의 그림은 카이로를 중심으로 만들어졌다.

 

이 점으로 미루어 보아 레이스가 갖고 있는 원시지도는 오늘날과 같은 진보된 기술로 그려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 對중국 단파라디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6 고대의 위성사진 지도?
편집부
10-03-21
5 ‘고대에도 비행기가 있었다’
편집부
09-11-19
4 고대인들도 천체를 관측했다
편집부
09-11-11
3 5천년전에 두개골 수술이?
편집부
09-11-03
2 사전 인류의 금속기술 [2]
편집부
09-10-22
1 수억년 전 의문의 발자국
편집부
09-09-11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4,634,321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