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의 제조업 과잉생산으로 글로벌 산업 생태계 교란이 우려되는 가운데, 자국 산업에도 역효과를 부른다는 지적이 나왔다,
2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시진핑 중국 주석은 제조업 강화를 통한 경제 회복을 위해 해당 부문에 수십억 달러 규모 보조금을 투입하도록 했다.
데이터 제공업체 윈드에 따르면 선전·상하이 거래소 상장 기업들이 지난해 신고한 정부 보조금은 330억달러로 2019년 대비 23% 증가했다.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중국 전문가 스콧 케네디는 "중국은 국내총생산(GDP)의 4.9%를 제조업 지원에 쏟아붓고 있다"면서, "이는 미국, 독일, 일본 등보다 몇 배 많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네덜란드 한 연구소에 따르면 중국의 1분기 산업생산은 2021년 말 부동산 위기가 심각했던 당시보다 8% 많다. 이런 영향으로 중국에선 자동차, 철강, 화학제품 부문의 과잉생산이 두드러 지고 있다.
중국의 국내 자동차 판매량은 2천200만대이지만 생산 능력은 약 4천만대로 확대됐다. 지난해 국내 태양광 전지 생산 수요량은 220기가와트였지만, 올해엔 750기가와트를 생산할 계획이다.
비닐봉지, 장난감 등에 쓰이는 에틸렌과 프로필렌 등의 기초 화학제품은 중국산이 올해 세계 신규 공급의 80%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현재 중국 내 관련 제품 가격은 19개월간 하락 중이다.
철강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한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생산량이 늘었다. 지난해 중국의 철강 수출은 전년 대비 36%나 폭증했다.
중국의 과잉생산으로 세계 각국의 기업들이 받는 압박도 커지고 있다.
태양열 패널의 첨단 부품인 실리콘 웨이퍼를 생산하는 미국 한 기업은 2022년 말 14억달러 규모 공장 설립 계획을 발표했으나 올해 초 중국의 과잉생산에 따른 시장 왜곡을 이유로 해당 계획을 취소했다.
그 사이 중국은 실리콘 웨이퍼 생산량을 두 배 가까이 늘리고, 이 중 일부 물량을 수출하면서 국제 가격은 70% 떨어졌다.
칠레의 철강 제조업체인 CAP은 저렴한 중국산 제품이 쏟아져 들어오자 버티지 못하고 이달 제철소 무기한 폐쇄를 결정했다. CAP은 관세율이 올라가도 가격으로 경쟁할 수 없다고 토로했다.
중국산 제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미국은 과잉생산에 따른 피해는 가장 적지만, 제조업 확장 목표 달성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은 연초에 중국산 철강, 알루미늄, 전기차, 태양전지 등에 관세율을 높였다.
유럽에서는 중국산 전기차 수입 여파로 자동차 업계 일자리가 1만개 이상 감소했다. 유럽연합(EU)이 최근 수입 중국산 전기차에 관세 부과를 결정한 것도 이런 상황에 따른 것이다.
튀르키예는 전기차, 파키스탄은 문구류와 고무에 관세를 각각 늘렸다. 인도는 중국 안료와 화학물질 등에 반덤핑 조사를 시작했고, 영국은 굴삭기와 바이오디젤에 대해 조사 중이다.
아르헨티나와 베트남은 전자레인지와 풍력 타워를 조사 중이며,우리나라의 한화큐셀은 업계가 월 수백만달러 손실을 보고 있다고 토로한다.
■ 자국에도 도움 안돼
WSJ는 중국의 과잉생산 문제는 자국에도 역효과를 부른다고 지적했다.
지난 3월 산업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에 그쳤다. 이는 1~2월 기록했던 7%에서 크게 둔화한 것이다. 3월 수출 물량은 약 10년 만에 최대치를 찍었지만, 금액 측면에서는 지난해 10월 수준을 간신히 웃돌았다.
이는 중국 기업의 가격 결정력이 국내외에서 약화하고 마진 압박은 가중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WSJ는 짚었다.
이런 상황은 중국이 주력 중인 전기차 부문에서 두드러진다. 전기차를 포함한 중국의 자동차 제조업 가동률은 1분기 65%로 2020년 1분기를 제외하면 최근 저점인 2016년 중반의 69.1%보다도 훨씬 낮았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