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코로나19에 의한 3년간의 봉쇄와 경기 침체 장기화 등으로 중국 최대 경제 중심지의 상권이 무너지고 있다.
상하이는 중국 최대의 경제 및 금융 중심지로, 2021년에는 GDP가 4조 3200억 위안(약 818조 8천억 원)에 달하며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로 성장한 바 있다.
상하이의 쇼핑몰은 한때 사람들로 붐볐지만, 모든 백화점이 문을 닫았고, 대형 쇼핑몰들도 사람들의 발길이 끊기면서 쇠락의 흔적이 곳곳에서 보이고 있다.
한때 상하이탄의 3대 쇼핑 거리 중 하나였던 쓰촨베이루도 유동 인구가 감소해 저녁이면 많은 가게가 문을 닫고 있다.
한 블로그에 따르면 이 곳에서 가장 오래된 맥도날드 매장도 경영난으로 지난 5월 문을 닫았고, 예전에 붐비던 대중영화관이 있던 곳은 지역 노인들만 찾는 작은 잡화점처럼 변했다.
네티즌들은 “많은 사람들이 경제적 어려움에 처해 전국의 쇼핑몰 상황이 모두 비슷할 것”이라며, “매장에 가더라도 에어컨을 쐴 뿐 물건을 사는 일은 거의 없다”고 전했다.
다른 일부 네티즌들은 “국가 전체의 경제가 좋지 않아 모두 주머니에 돈이 없다"고 토로했다.
비즈니스 환경도 침체하고 있다. 상하이 홍차오 지역은 전성기 때 50개 이상의 부동산 회사가 사무실을 두고 경쟁적으로 사업을 벌였던 곳이다. 그러나 부동산 시장 붕괴로 공실이 계속 늘고 있다.
공실률이 높아지면서 국유 기업들은 사무실 임대료를 한 달, 석 달, 심지어 반년 동안 면제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경영 악화로 이마저도 감당이 버거운 일부 기업들은 비용 절감을 위해 외곽으로 이전했다.
외국 기업들의 철수도 이런 상황을 부채질하고 있다. 지난 1월 글로벌 자산운용사 블랙록은 상하이에 있는 오피스 빌딩 전체를 30% 할인된 가격에 매각해 시장에 충격을 준 바 있다.
독일 지멘스의 한 자회사는 한 국영기업에 매각된 뒤 중국에서 투자를 철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그와 관련된 상하류 공급업체 등 8개 기업도 함께 철수한다. 일본의 캐논, 한국의 삼성 등 유명 기업들도 중국을 떠났다.
중국 당국은 코로나 팬데믹 전에도 외국 기업에 대한 과도한 규제로 이들의 탈중국을 자초했다.
미국 하드디스크 업체 씨게이트는 2017년 세금 압박 등을 이유로 쑤저우 공장을 태국으로 이전했다. 중국 세무당국은 이 업체에 2년간 탈세 혐의로 15억 위안의 세금을 부과했다.
중국 당국은 지역 재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국 기업에 과도한 세금 부과 등의 방식으로 압박을 가하고 있지만, 이는 30년 이상 어렵게 구축해온 비즈니스 환경을 하루아침에 망치는 것이다.
악명을 요구한 중국계 경제학자는 “중국의 경제 상황은 엄중하다. 많은 도시들이 상하이와 유사한 상황”이라며 “현재로선 탈출구가 없어 경기 쇠락의 국면을 타개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gdnews.kr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