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정부 기관과 국유 기업이 사용하는 사무기기와 정보기술(IT) 시스템을 자국산 제품으로 교채하라는 비밀 통지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7일 일본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중국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國資委)는 지난해 9월 정부와 국유기업 정보시스템의 전면적 국산화를 2027년까지 완료하라고 내부 문서를 통해 비밀리에 통보했다.
이른바 ‘79호 문서’로 불리는 이 문서는 정부 기관과 국유기업이 올해 1월부터 3개월마다 업무 시스템 및 기기를 국산품으로 교체하는 데 대한 진전 상황을 위원회에 보고하도록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산화 대상은 컴퓨터와 복합기 등 사무기기와 서버, e메일, 파일 시스템 등이다.
이번 지시는 비밀리에 진행됐다. 위원회는 이 문서를 △구두로 설명하며 △수기로 작성한 것만 인정했고, 이마저도 나중에 회수했다.
이런 행보에 대해 요미우리는 “외국 기업을 배제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위해 증거를 남기지 않으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미국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중국 국유 은행들은 이미 정보 시스템 관련 조달 과정에서 IBM이나 그래픽 애플리케이션 업체 어도비의 제품 등을 쓰지 않고 있다.
요미우리는 “정부와 국유기업에서 시작된 국산화 움직임은 민간에까지 파급될 것이고, 이는 외국 제품이 중국 시장에 참가할 여지가 더욱 좁아지는 걸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치는 그동안 대외적으로 무역개방을 내세운 중국의 기존 입장에 의문을 갖게 한다.
중국은 외국 기업을 국내 기업과 차별하지 않을 것을 규정한 세계무역기구(WTO)의 정부조달협정에 가입하려고 15년 넘게 협상하고 있다.
정부조달의 대외개방을 촉구하는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에도 가입을 신청한 상태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