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세계적인 반도체 공급 부족과 미국의 금수 조치 등으로 중국에서 불량 반도체 시장이 확산하고 있어 제품 및 소비자 안전 우려가 커지고 있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에서 반도체 암시장이 거대해지며 부품 공급이 절실한 자동차 업체들을 끌어 들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해당 시장에서는 오래 됐거나 불법적 경로로 빼돌린 제품들이 고가에 거래되고 있으며, 심할 경우 가격이 500배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반도체 부족으로 압력이 가장 큰 분야는 자동차 시장이다.
중국승용차협회의 쿠이 동슈 회장은 “미국의 (대중(對中)) 반도체 수출 금지 조치로 반도체 암시장은 더욱 확대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블룸버그는 “중국의 자동차 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수요가 크지만 규제는 부족해 불법 거래 규모가 더욱 커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분야 판매자들은 거래되는 반도체는 대부분 △기준 미달이거나 △불량품이기 때문에 자동차 품질은 물론 소비자 안전까지 위험에 놓일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일례로 AB브레이크모듈이 반도체 부품불량으로 문제가 생기면 운전자 생명까지 위협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중국에서는 현재 중국에서 합법적 경로를 통해 원하는 반도체를, 원하는 규모로, 원하는 시간에 확보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익명을 요구한 반도체 판매자는 블룸버그에 “자동차 공급업체들이 승인된 중개업체를 통해 주문을 넣어 공식 반도체 메이커들로부터 공급을 확보하는 기존의 시스템은 현재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중국의 주요 전기차 업체들은 모두 미승인 중개업체를 통해 반도체 매입을 시도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중국 최대 전기차 메이커 BYD를 제외한 니오, 샤오펑, 리오토 등 다른 업체들은 암시장을 통해 반도체 확보를 시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리오토의 경우, 팬데믹 전 1달러에 불과했던 브레이크 관련 반도체 부품을 500달러 넘는 금액에 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는 중국의 반도체 암시장은 반도체 공급이 부족하기 이전에도 존재했지만, 미국의 제재로 품귀 현상이 심화하면서 막대한 차익을 노리는 이들이 몰려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권민호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