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헤지펀드 투자자 조지 소로스가 ‘오미크론 변이’와 ‘부동산 시장 위기’가 시진핑 중공 총서기의 3기 집권을 위협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1일(이하 현지시간) CNBC 등에 따르면, 조지 소로스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스탠퍼드대 후버연구소와 화상으로 가진 패널 토론에서 중국은 오미크론에 대한 시진핑의 대응 부재로 ‘통제불능’ 상태가 됐다고 지적했다.
소로스는 “중국은 중공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다루기 위해 백신을 만들었지만 세계는 현재 다른 돌연변이들과 싸우고 있다"면서 중국 내 오미크론 확산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그는 또 시진핑은 ‘제로 코로나’를 앞세워 방역을 시도하고 있지만 바이러스 확산은 계속되고 있다며, “오미크론처럼 감염력이 높은 돌연변이는 이 같은 봉쇄 정책이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소로스는 “그러나 3기 집권을 앞둔 시진핑은 이를 받아들일 수 없을 것”이라면서 상황을 감추기 위해 국민을 통제하기에 급급하다고 말했다.
코로나19 감염자가 나오면 주변 지역을 모두 봉쇄해 감염을 차단하는 '제로 코로나' 정책은 국제 공급망에 심각한 차질을 야기했고, 중국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등 국내외 비판이 높다.
소로스는 아울러 중국의 경기 위기를 가속하는 부동산 정책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중국의 부동산 호황은 국민들에게 자산의 상당 부분을 투자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지방정부에 혜택을 보는 ‘지속 불가능한’ 모델에 기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소로스는 “중국 정부의 부동산 정책으로 대형 부동산개발업체들을 잇따라 유동성 위기에 몰리고 집값은 떨어지고 있다”면서 “이로 인해 목돈을 투자한 사람들은 시진핑에게 등을 돌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중국 당국의 부동산 침체에 대한 대응은 이미 늦었으며 시장에 대한 사람들의 신뢰도 많이 훼손된 상태”라고 진단했다.
중국에서 부동산 관련 산업은 국내총생산(GDP)에서 30% 정도를 차지한다.
헝다그룹(에버그란데)을 비롯한 부동산 업체들은 당국의 대출 규제로 잇따라 무너지고 있어, 중국 경제 전반에 광범위한 충격이 예상된다.
권성민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