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시진핑 중국공산당 총서기는 2일 베이징에서 중국 내 세 번째 증권거래소인 ‘베이징증권거래소’를 설립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공산당 내 세력 판도에 관련된 것으로 내순환 경제정책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시 총서기는 이날 중국 국제 서비스 무역 박람회 개막식에 맞춰 행한 영상연설을 통해, "중소기업의 혁신과 발전을 계속 지원하고 새로운 개혁을 심화하기 위해 혁신형 중소기업을 위한 주요 거점으로 베이징증권거래소를 설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1월 미국 뉴욕증권거래소는 중국전신(中國電信) 등 중국 통신기업 3곳의 상장폐지를 발표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11월 서명한 중국군과의 연결고리를 가진 중국 기업에 증권투자를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따른 것이다.
미국과 중국에서는 향후 미국 상장 중국 기업들이 국내로 회귀하는 움직임이 가속화할 것이라는 견해가 팽배했다.
로이터통신은 지난 3월 한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중국 당국이 국내로 돌아온 중국 기업을 위해 새로운 증권거래소 설립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당시 중국 증권 규제당국은 이에 대해 별다른 논평을 하지 않았다.
미국 증시는 중국 기업에 중요한 자금 조달처로 작용하고 있지만, 중국 당국은 최근 국외 유출을 막기 위해 중국 기업의 미국 상장에 대한 규제를 강화했다.
당국은 지난 7월 '사이버보안심사방법' 개정안을 공표하고 사용자 개인정보를 100만건 이상 보유한 IT기업 등이 해외시장에 상장할 경우 사전에 당국의 사이버보안 심사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했다.
이에 대해 대만 경제학자 우쟈룽(吳嘉隆)은 "시진핑 정부가 베이징에서 증권거래소를 설립하는 이유 중 하나는 당내 파벌 간의 권력 투쟁에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남부에 있는 두 증권거래소인 상하이증권거래소와 선전증권거래소는 모두 장쩌민파와 쩡칭홍파의 세력 거점이다.
우 씨는 시진핑의 베이징증권거래소 설립에 대해 “자금이 조금이라도 북방지역으로 흘러가도록 하려는 의도가 있다”며, “중국 금융, IT, 무역 등의 분야가 남부에 편중돼 있다는 현실을 바꾸고 싶은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우 씨는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는 중소기업만 상장하는 증권거래소가 없다”는 점을 들어 베이징증권거래소의 향후 운영과 관련해 “활성화되기는 힘들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거래소 설립 후 당국은 시장조사나 전문가 등과 의견을 교환하고, 투자자나 시장 관계자에게 받아들여질 필요가 있다”며, “그러나 이런 거래소의 성공 사례는 본 적이 없다”고 지적했다.
재미 중국인 경제학자 리헝칭(李恒靑)은 베이징증권거래소 설립은 시진핑 정권의 내순환 경제정책과 관련이 있다고 진단했다.
내순환은 국내 경제대순환을 의미한다. 미중 갈등이 격화되는 가운데 해외에 의지하지 않고 국내 생산능력을 국내에서 스스로 소화하고, 국민들의 요구를 국내 기업만으로 충족시키는 정책이다. 이는 문화대혁명 중 중국 당국이 내세운 ‘자력 갱생’에 가깝다.
하지성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