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알리바바의 핀테크 계열사 앤트그룹이 중국 국영기업과 함께 신용정보회사를 설립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앤트그룹이 중국 국영기업과 신용정보 회사를 오는 3분기에 세우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합작 신용정보 회사가 출범할 경우 앤트그룹이 보유한 알리페이 사용자 10억 명 이상의 금융정보는 당국으로 넘어가게 된다.
중국 당국은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개인과 기업의 은행 거래내역을 취합해 신용을 평가하고 있지만, 은행 대출이 없거나 대출을 받지 못한 국민에 대한 신용 평가는 불가능했다.
이에 당국은 앤트그룹을 포함한 사기업들에게 고객의 금융정보를 공유하길 요구해왔지만 앤트그룹 측은 고객의 동의가 없다는 이유로 당국의 요구를 거부해왔다.
앤트그룹은 신용정보회사 지마 크레디트를 자회사로 두는 등 자체적인 신용평가 시스템을 운영하며 고객들에게 중국 정부 통제 밖의 소액대출을 제공한다.
WSJ는 소식통을 인용해 "그동안 10억 명이 넘는 개인이 알리페이 애플리케이션(앱)을 사용하며 돈을 쓰거나 빌려왔다"고 설명했다.
앤트그룹은 마윈 알리바바 전 회장이 실질적으로 지배한다. 마윈은 지난해 10월 상하이 금융 포럼에서 당국의 금융 정책을 공개적으로 비판한 뒤 금융 당국의 소환으로 문책을 받았다.
그후 앤트그룹은 작년 11월 홍콩과 상하이 증권시장에 사상 최대 규모의 상장을 할 예정이었지만 당국의 지시로 기업공개(IPO)가 불발되는 등 대대적인 압력에 시달리고 있다.
일부 금융 전문가들은 앤트그룹의 상장 연기는 당국의 (고객 금융정보) 요구를 거부한 것에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중국 정부는 지난해 앤트그룹 상장 연기 사건 이후로 지속해서 앤트그룹을 압박해왔다.
지난 4월에는 알리바바가 ‘반독점 위반’을 이유로 과징금 182억위안(약 3조1931억원)을 부과받았다.
국가시장감독관리 총국은 알리바바가 자사 쇼핑 플랫폼에 입점한 소상공인에게 다른 경쟁 플랫폼에 입점하지 못하도록 요구하며 시장 경쟁을 위축시켰다고 밝혔다.
한편, 중국 인민은행은 이번 합작 신용평가회사 설립에 대한 WSJ의 논평 요청에 응하지 않았으며, 앤트그룹 측도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한지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