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국가간 문제에서 ‘경제 보복’을 주특기로 삼는 중국공산당(이하 중공)이 호주산 석탄 불매를 결정했다가 된서리를 맞고 있다.
중공은 호주 정부가 2020년 4월, 중공 바이러스(코로나19)의 발원지와 확산 경로에 대한 국제조사의 필요성을 주장하자 이에 강력 반발하며 경제 보복에 나섰다.
중공은 호주산 쇠고기 수입을 규제하고 보리와 와인에도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수입 비중이 큰 석탄 거래마저 중단했다. 이는 호주산 석탄의 최대 수입국이라는 지위를 이용해 호주에 타격을 가하려는 의도로 풀이됐다.
중공은 석탄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며, 전체 수요의 절반가량을 호주에 의존한다. 지난해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한 10월 전까지 (호주로부터) 78억9천만 달러(한화 약 8조7천억 원)어치의 석탄을 구입했다.
중공은 2020년 10월부터 발전소와 제철소들에 대한 '구두 통보' 방식으로 호주산 석탄 수입을 사실상 중단시켰고, 12월 들어 공식화했다.
1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중국은 올 겨울 강력 한파 속에 석탄 가격 급등과 공급 부족 등으로 심각한 전력난을 겪고 있다.
중국 여러 성에서는 이번 겨울 "질서 있게 전력을 사용하라"는 전력 절약 지침을 계속 내보내고 있다.
지난해 12월 18일 홍콩 명보 등에 따르면, 저장성 이우시와 진화시는 △공공장소에서 외부 기온이 5도 이상일 땐 난방을 끌 것', △3층 이하 승강기 가동 중지 등과 같은 전력 절감 지시를 내렸다. 저장성의 한 중학교는 기온이 3도 이상일 때는 난방사용을 중단했다.
후난성 창사시는 전기난로나 전기오븐 등 전력 소모가 많은 난방 기구의 사용까지 금지했다.
최근 북부 헤이룽장성에서는 주민들이 지방정부로 몰려가 영하 30도에 이르는 추위에도 주택 난방이 제대로 되지 않는 데 대해 항의했다.
6일 베이징청년보 등에 따르면, 헤이룽장성 쑤이화(綏化)시 칭안(慶安)현 주민 100여 명은 전날 난방이 갑자기 중단된 데 대해 현 정부 건물로 몰려가 항의했다.
항의에 나선 주민들은 “기온이 영하 30도로 떨어졌는데, 난방이 제대로 안 된다”면서, “발전소는 매년 겨울 수리를 이유로 며칠간 열 공급을 중단하는데 이 배경에 정부와 업체간 결탁이 있는지 여부가 의심된다”고 말했다.
중국은 정부 통제 하의 중앙난방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호주 ABC 뉴스도 중국에서는 올 겨울 최소 수백만명의 주민들이 전력 공급 부족으로 추위에 떠는 등 생활의 큰 불편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당국은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콜롬비아산 석탄을 수입하는 등 수입 다변화를 시도 중이지만 호주와 비교해 운송비가 많이 들고 석탄의 질도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상품 및 에너지 가격 조사 기관인 아거스미디어는 최근 중국의 수입업체가 북미산 석탄 수입도 추진했다고 전했다. 북미산 석탄의 가격은 호주산 석탄보다 t당 100달러 비싸다.
이 같은 상황은 중국 내 석탄 가격 급등으로 이어졌다. 1월 말 현재 톤당 고품질 난방용 석탄 가격은 지난해의 두 배 수준으로 올랐다.
중공 당국과 관영 언론들은 전력난의 원인을 △대규모 공장 가동 △추운 날씨 등으로 밝혔지만 해외 매체와 전문가들은 중국이 무역보복으로 수개월 간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한 데 따른 부메랑으로 보고 있다.
한편, WSJ에 따르면 호주산 석탄 가격은 중국의 불매 결정 후 하락했지만, 일본과 인도 등 다른 국가의 수요가 늘면서 가격을 회복했다.
구본석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