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09(수)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中 전력난으로 난방 사용 제한... 호주산 석탄 금지 부메랑?

도현준 기자  |  2020-12-19
인쇄하기-새창



▲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 [사진=SOH 자료실]


[SOH] 중국이 호주와의 갈등으로 경제보복에 나선 가운데,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하면서 전력난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18일 홍콩 명보는 중국 저장(浙江)성과 후난(湖南)성 등에서 최근 전력 절감에 관한 통지문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저장성 당국은 오는 31일까지 상업지역에서 기온이 3도 이하로 떨어질 때만 난방기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행정기관들에 대해서도 난방기구 사용을 최소화 할 것을 통지했다.


저장성 이우(義烏)시와 진화(金華)시는 지난 13일 에너지 절감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공공장소에서는 외부 기온이 5도 이상이면 난방을 꺼야하며, 조명 절약과 3층 이하 승강기는 가동을 멈춰야 한다.


명보는 이러한 지침으로 상업지역에서는 매일 오후 3시면 정전이 발생해 업무에 차질을 빚고 있고, 수출 업체들도 제품 생산 작업이 사흘에 하루 꼴로 중단돼 업무에 차질을 빚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밤에 가로등이 켜지지 않거나 고층 건물의 승강기 운행이 중단되는 일도 늘고 있다.


후난성에서는 창사(長沙)시가 지난 8일 전기난로 등 전력 소모가 많은 난방기구 사용을 금지한 데 이어, 성 당국이 14일부터 매일 오전 10시30분~정오, 오후 4시30분~8시30분을 전력 사용 제한 시간으로 정했다. 


명보는 최근 두드러진 중국의 전력 부족이 호주산 석탄 금지와 관련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지난 13일 석탄 가격 안정을 위해 모든 발전소에 호주산을 제외하면 석탄을 제한 없이 수입할 수 있도록 허가했지만 당국은 이미 앞서 호주산 석탄 수입을 제한해왔다는 것이다.


호주 언론 및 기타 외신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 8월부터 호주산 석탄 수입량을 줄여왔으며, 11월 초부터 약 3주간은 약 96%나 급감했다.


명보는 중국은 호주산 석탄에 대한 의존도가 57%에 달해, 수입금지 조치가 장기화될 경우 전력난이 더 심각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국가개발개혁위원회는 전력 부족 사태에 대해, 산업분야의 고속성장과 기온 저하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도현준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1086 궈원구이... 中共 ‘아시아 정복 비밀 계획’ 폭로
미디어뉴스팀
21-02-24
1085 중국 경제의 마이너스 성장
리준(Li Jun) 선
21-02-20
1084 中, 호주산 석탄 수입금지... ‘난방 대란’으로 부메랑
구본석 기자
21-02-11
1083 中 학자, GDP 목표 설정 철폐 제안
김주혁 기자
21-02-02
1082 전문가 100명, EU·中 투자협정 철회 요구... 인권문제 ....
구본석 기자
21-01-28
1081 트럼프 행정부, 中 9개사 ‘거래제한 기업’ 지정... “中....
디지털뉴스팀
21-01-15
1080 中 대표 반도체 기업 ‘디폴트’... 반도체 굴기 휘청
디지털뉴스팀
21-01-10
1079 美 국토안보부, 中 TV 백도어 조사
김주혁 기자
20-12-28
1078 中 전력난으로 난방 사용 제한... 호주산 석탄 금지 부....
도현준 기자
20-12-19
1077 獨 폭스바겐 中 합작회사, 반도체 부족으로 조업정지
권성민 기자
20-12-10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4,857,599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