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미국 재무부가 ‘홍콩 자유 억압’을 이유로 중국 본토 및 홍콩 고위 관리 11명을 대상으로 한 금융 제재를 시행한 가운데, 반발하는 정부와 달리 중국 주요 국영은행들이 제재에 동참할 채비에 나서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 재무부는 지난 7일(현지시간) 홍콩의 행정 수반인 캐리 람(林鄭月娥) 행정장관 등 홍콩 내 친중파 관리들과 중국 본토 관리 11명을 제재한다고 밝혔다.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은 성명을 통해 △콩의 자율성을 훼손 △홍콩 시민의 집회 및 표현의 자유 훼손 등을 이번 제재 배경으로 밝혔다.
이번 조치는 지난달 ‘홍콩자치법(HKAA)’이 미국 의회를 통과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데 따른 것이다.
홍콩자치법은 홍콩 국가보안법에 관여한 중국이나 홍콩 관료들과 거래하는 은행들에 벌금을 부과하거나 사업을 금지시키고 △홍콩 자치권 침해를 돕는 단체 및 그들과 거래하는 금융기관도 제재 대상에 포함하는 ‘세컨더리 보이콧’ 등의 내용이 담겼다.
제재 대상은 람 장관 외에 중국정부의 홍콩 정책 책임자인 하보룡(夏宝竜, Xia Baolong), 홍콩 마카오 사무판공실 주임, '도망범 조례'개정안의 책임자인 정약화(鄭若驊, Teresa Cheng), 홍콩 정부 사법관, 홍콩에 신설 된 '국가 안전유지 관공서' 정안웅(鄭雁雄, Zheng Yanxiong) 서장 등이다.
미국의 제재에 대해 중국은 홍콩에 대한 내정 간섭이라고 강하게 반발했고 홍콩 금융관리국도 미국의 제재가 홍콩 내에선 법적 효력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중국의 주요 은행들은 정부의 입장과 달리 미국의 제재 동참 준비에 나서고 있다.
블룸버그통신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행, 건설은행, 초상은행 등 국영은행들이 미국의 제재 대상자들과 새로 거래를 맺지 않기로 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글로벌 사회에서 거래를 해야 하는 금융기관으로서의 입장을 고려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중국은 무역전쟁과 우한폐렴(코로나19) 등의 여파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마이너스(-) 6.8%를 기록했고 2분기 겨우 플러스 3.2%를 기록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은행들은 ‘버티기’보다는 글로벌 금융시장에 대한 ‘접근성 유지’가 더 필요할 것이다.
중국은 디지털화폐 등을 통해 달러 패권에 도전하고 있지만 기축통화로서의 달러의 영향력은 여전하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중국 4대 은행의 달러 표시 자산은 1조1000억달러(1300조원)에 달한다.
중국 경제학계도 국영은행들의 움직임에 힘을 보태고 있다.
인민은행에서 통화정책을 담당했던 위용딩(余永定) 중국 사회과학원 명예교수는 한 토론회에서 중국은행들이 앞으로 결제 시스템 차단은 물론 해외 자산 압류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그는 “미국의 금융 제재는 거래 제재뿐 아니라 해외 자산 압류 등 다양하게 이뤄질 수 있다”며, “당국은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한 대비도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본석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