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미국과 중국의 계속되는 관세전쟁으로 인해 수익이 줄어든 아시아 제조 업체들이 중국을 떠나 본국으로 돌아가고 있다고 5일(현지시간) CNBC가 보도했다.
이같은 움직임은 일본과 대만의 전자제품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노무라의 분석에 따르면 미국의 고세율 관세로 인해 공장을 이전한 기업은 56곳에 달한다.
노무라는 1년이 넘도록 지속되어 온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으로 인해 가장 큰 반사이익을 얻은 국가는 대만이라고 지적했다. 약 40곳의 대만 기업들이 그들의 공장을 중국에서 본국으로 이전할 계획을 갖고 있다.
타이베이는 본국으로 기업을 다시 불러들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대만 투자 계획'을 추진해왔다. 기업들은 이전비용을 위해 저리의 대출을 받을 수 있다. 대만의 콴타 컴퓨터도 이 프로그램을 이용해 본국으로 이전 중이다.
리쇼어링(제조업의 본국 유턴)을 계획한 기업은 대만뿐이 아니다.
SK하이닉스도 일부 칩 모듈 생산을 한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일본의 미쯔비시 전기 역시 중국 다롄의 제조공장을 나고야로 이전 중이다. 이미 중국의 인건비 상승을 우려했던 델과 같은 기업들도 무역분쟁의 여파로 중국공장 이전을 가속화할 기회를 얻었다고 노무라는 분석했다.
업종별로는 전자제품 기업이 가장 많았고 의류, 신발, 가방, 전기장비 등이 뒤를 이었다.
노무라의 소날 바르마 수석 이코노미스트와 마이클 루 이코노미스트는 보고서를 통해 "기업들이 중국을 떠나 생산 재배치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계속되는 무역 긴장때문이다"라며 "일부 기업은 사이버보안 위험을 이유로 들기도 했다"고 전했다. / NEWSIS
디지털 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