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위안화가 달러당 7위안대로 접어든 후 미국이 중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한 가운데, 중국의 위안화 약세가 계속되고 있어, 외자 기업과 중국 기업의 해외 생산 이관 가속화, 실업자 급증 등으로 중국 경제가 더욱 침체될 전망이다.
12일(이하 현지시간) 상하이 외환거래 시장에서 위안화 대 달러 환율은 달러당 7.06위안으로 위안화 약세, 달러 강세를 보였다.
중국인민은행(중앙은행)은 13일 위안화의 대 달러 기준치를 달러당 7.0326위안으로 설정해 12일 달러당 7.0211 위안에서 115포인트 낮게 설정했다. 또 다음날인 14일에도 대달러 위안화 기준치를 1달러=7.0312위안으로 설정해 전날에 비해 위안화 강세, 달러 약세가 되었다.
이는 중국 당국이 5 영업일 연속 달러당 7위안대로 설정한 것으로, 중국 내외에 위안화 약세 용인 의지를 분명히 드러냈다.
미 정부는 9월 1일부터 제4차 관세 조치를 실시해 3000달러 상당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 10%의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이 관세율은 상황에 따라 향후 25%로 인상될 가능성도 내비쳐진 상태다.
미국의 소리 방송(VOA)은 영국 리서치 기관 캐피탈 이코노믹스의 애널리스트를 인용해, 제4차 대중 제재 관세의 관세율이 25%로 인상될 경우, 중국 내 물가상승 압력은 지금까지의 관세 조치에 비해 몇 배 더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국제통화기금(IMF)은 9일 보고서를 발표해 내년 중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8% 하락할 것으로 추정했다.
중국 당국은 향후 경기부양책을 강화하고 한층 완화된 금융정책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위안화 약세가 계속될 경우 이에 따른 자금 유출, 유동성 저하 등이 불가피해 중국 당국은 경기 안정에 더욱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프랑스 투자은행 나티시스(Natixis)가 12일 발표한 시장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분기 중국 자본의 순유출은 1분기의 210억달러에서 대폭 증가한 850억달러에 달했다.
이에 대해 나티시스는 미국의 새로운 대중 관세조치와 ‘환율 조작국’ 인정으로 위안화 약세가 지속될 경우 중국의 자본유출이 가속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VOA는 중국 당국이 해외로의 자금 유출을 막기 위해 해외 기업에 대한 매수 심사나 해외에서 신용카드 이용 제한 강화 등 자본 규제를 보다 강화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분석했다.
재미 중국인 경제학자 사예량(夏業良)은 12일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인터뷰에서, 미 정부의 대중 관세조치와 ‘환율 조작국’ 인정으로 장기간 중국 경제에 존재하는 ‘구조적 결함’이 부각됐다며, 현재 중국의 경제 침체는 중국의 사회제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 상황은 중국의 낮은 혁신 능력을 반영하고 있다. 최근 수년간 기술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는 없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단기적인 목표와 투기에만 집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학자 허장빙(賀江兵)은 RFA에 “무역전쟁이 시작된 후 중국 내 해외 기업의 이탈이 갈수록 가속화 돼 경제 침체에 치명타를 안기고 있다”고 말했다.
‘세계의 공장’이자 세계 제2의 경제체로 약진한 중국에게 있어 제조업 공급망은 핵심 산업이지만 가장 중요한 산업이지만, 트럼프 정부의 관세 조치로 해외 기업들은 중국 내 생산 거점을 속속 해외로 이전하고 있다.
중국 국가 통계국이 발표한 7월 제조업 구매 담당자 경기지수(PMI)는 49.7로, 경기 개선과 악화의 분기점인 50을 3개월 연속 밑돌았다. 또, 7월 생산자 물가지수(PPI)는 전년대비 0.3% 저하해, 약 3년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1~7월까지의 미중 무역 총액은 전년 동기에 비해 8% 감소한 2.1조 위안이 되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중국의 대미 수출은 2% 감소했고, 미국에서 중국으로의 수입은 약 25% 줄었다.
이에 대해 미 씨티뱅크는 향후 중국의 대미 수출이 2.7% 더 감소하고, 이것으로 중국의 GDP 성장률이 0.5%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성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