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미중 무역전쟁이 장기화하면서 중국의 고용시장에도 한파가 몰아치고 있다.
25일 미국의소리(VOA) 방송 중국어판에 따르면 중국 최대 투자은행 중국국제금융공사(CICC)는 전날 발표한 보고서에서 "미국이 중국에 관세 부과를 개시한 지난해 7월부터 지난 5월까지 중국 제조업 분야에서 500만개 일자리가 사라졌다"고 밝혔다.
CICC는 "이런 손실은 제조업 고용의 3.4%에 달하는 것으로, 중국의 전체 고용시장을 기준으로 0.7%에 상당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사라진 일자리 500만개 중 180만~190만개는 무역전쟁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서는 지적했다.
CICC의 보고서를 통해 무역전쟁 여파로 중국 제조업 일자리가 대거 사라졌다는 우려가 사실로 확인된 셈이다.
CICC는 또 "이런 일자리 손실에는 무역전 이외 중국 내 구조 조정과 주기적 요인의 영향도 있다"고 부연했다.
VOA는 "이런 분석은 지난 5월 이전 수치로 진행한 것으로, 미국이 2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0%에서 25%로 올린 데 따른 영향이 포함되지 않았다"면서 "그 영향까지 고려하면서 실제 일자리 손실 규모는 더 클 것"이라고 전했다.
VOA는 "중국 국가통계국의 통계치에 따르면 6월 도시 실업률도 5.1%로 전년 동기대비 0.3%P밖에 높아지지 않았지만, 이 통계치에는 수백만명의 농민공(농촌출신 도시근로자) 실업률을 포함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농민공들이 취직해 있는 저소득 제조업은 미국 관세 조치의 영향을 크게 받았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CICC는 컴퓨터 및 통신장비 부문이 미국 관세 조치의 직격탄을 입었다고 전했다. 컴퓨터 및 통신장비 분야의 일자리는 지난 11개월간 4.9% 감소했다. 이외에도 고무 및 플라스틱 제조업 , 전기·기계 제조업, 금속제조업의 일자리는 각각 3.8%, 2.8%, 2.6% 감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CICC는 "비관적인 전망 속에서 미국이 3250억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경우 방직의류, 문구류 등 소비재 부문도 엄청난 타격을 받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최근 외신들은 중국에 생산기지를 설립해 운영해왔던 글로벌 기업들은 미중 무역마찰로 인해 최근 베트남 등 동남아 국가로 생산기지 이전을 추진하거나 중국 내 생산물량 축소를 진행 중이라고 보도했다. 미중 무역협상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중국 본토 기업들도 이런 탈(脫)중국 행보에 합류하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반면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이하 발개위)는 "미중 무역갈등에 따른 자국 제조업 기업의 해외이전 규모는 크지 않고, 그 영향은 통제 가능한 수준"이라고 반박했다.
앞서 중국 교통은행과 하이퉁증권은 무역전쟁으로 현재까지 중국에서 70만~12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졌을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 / NEWSIS
디지털 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