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온라인 개인 간(P2P) 대출 시장이 중국 당국의 대대적인 규제와 단속으로 붕괴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 15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금융 리스크 축소를 앞세워 △P2P 대출업체의 신규 신설 금지 △P2P 업체에 대한 지방정부 차원의 감시·감독 강화 △불법 자금 유출 및 고의 도산 업체 경영진 강력 처벌 △상환 거부 악성 채무자 신용 관리 등 P2P 업체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을 진행하고 있다.
FT는 중국 최대 P2P 대출업체 ‘루팍스’의 그레그 깁 최고경영자(CEO)의 말을 인용해 “현재 약 1500개인 P2P 업체 수가 1년 안에 50~100개 수준으로 줄어들게 될 것”이라며, “정부는 엄격한 P2P 대출업 규제를 만들어 이를 통과한 소수의 업체에만 영업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P2P 시장은 지난 2015년만 해도 업체 수가 3500개에 달했지만 당국의 규제 강화로 현재 약 1500여개로 축소했다. P2P 시장 대출금 총액은 6월 1조200억위안(166조7000만원)에서 9월 말 8536억위안(139조원)으로 급감했다.
중국 정부는 최근 부채 축소 정책의 일환으로 금융 리스크 감소를 위해 P2P 시장에 대한 단속과 규제를 대폭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시장은 빠른 위축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지난 6월부터 P2P 시장에서 자금 이탈 속도가 역대 최고를 나타내고 있다.
중국 상하이의 리서치회사, 잉찬그룹에 따르면 중국의 6200개 P2P 플랫폼 중 80% 이상이 경영난으로 문을 닫았거나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있다.
FT는 “당국의 규제 강화로 신규 자금 유입이 중단되고, 기존 투자자들의 자금 회수가 겹치면서 일부 P2P 대출업체 경영진들은 폐업하거나 투자금 회수 책임을 피해 해외로 도피하기도 한다”고 밝혔다. [사진=웨이보]
한지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