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지도부가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압박에 직면한 가운데,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주장해온 ‘질적 성장’ 정책 궤도를 수정할 것으로 보인다.
2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의 핵심 의사결정 기구인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은 지난달 31일 회의를 통해 ‘중국의 경기 둔화를 감안해 향후 ‘안정 속 발전‘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밝혀, 국내 경기 둔화에 대해 처음으로 공개적으로 인정했다.
SCMP는 이번 발표에서는 시 주석의 핵심 경제 정책으로 줄곧 강조해온 ‘질적 성장’에 관한 3대 정책에 관한 내용이 빠져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 주석은 2015년 12월 당 지도부 회의에서 처음으로 ‘금융위험 통제’, ‘빈곤 퇴치’, ‘환경 개선’의 3대 정책을 언급했다.
이 정책은 중국 경제가 걸어온 ‘양적 성장’의 길을 ‘질적 성장’으로 바꾸자는 취지로 제안됐으며, 이후 열린 지도부 회의에서 빠짐없이 모두 등장했었다.
그러나 이번 정치국 회의 결과 발표에서는 이 정책은 언급되지 않았고, 대신 ‘경제 하방 압력 증가로 인한 일부 기업의 경영상 어려움’, ‘자본시장 개혁 강화’, ‘시장의 활력 고취’ 등 의 새로운 내용이 등장했다.
이러한 새 내용은 최근 발표된 중국의 국내총생산과도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최근 발표한 올해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시장 전망치 6.6%보다 낮은 6.5%에 그쳤다. 이는 올해 2분기 6.7%보다 0.2%포인트 낮고, 2009년 이후 최저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중국 지도부가 현재 직면한 경제적 압박의 심각성을 인정한 것이라며, 시진핑의 질적 성장을 추구하기에는 매우 위급한 상황이라고 판단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들은 또 중국이 ‘경기부양’과 ‘증시 활성화’ 등을 통해 경기둔화를 막기 위한 ‘성장 확대’ 방향의 정책들을 내놓는 데 주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연화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