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에서 인터넷을 통해 중소기업 및 개인의 대출과 일반 투자자를 중개하는 P2P 금용 플랫폼의 도산 또는 폐쇄가 잇따르고 있다. 때문에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자금 회수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중국 당국이 지난 6일 발표한 ‘2018년 상반기 P2P 관찰보고’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현재, 중국 내에서는 2835개의 P2P 업체가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올 상반기에 721개사가 폐쇄되어 P2P 업체 수는 절정에 달했을 때의 5000개사에서 절반으로 줄었다.
7월 들어, P2P 업체의 도산과 폐쇄가 한층 더 늘어났다.
23일(현지시간) 홍콩 경제일보에 따르면, 이달 2일부터 약 2주간인 지난 16일까지 중국에서 131개의 P2P 업체가 폐업 및 도산했다. 일부 P2P 플랫폼 경영자들은 채권자의 자금을 갖고 도주하거나 잠적해, 투자자들은 약 1000억 위안(약 16.5조원)의 손해를 입었지만 자금회수 가능성은 희박한 상황이다.
P2P 업체 대부분은 베이징, 상하이, 선전 등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다. 신문은 또 5월 이후 채무 불이행(디폴트)으로 도산한 다수 업체 중, 국가 자본의 P2P 금융회사도 다수 포함됐다고 밝혔다.
이 같은 P2P 업체들이 도산한 주된 원인으로는 △금융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해 중국 당국이 실시한 디레버리지(채무 압축) 정책, △재테크 상품 업체와 P2P 금융 등에 대한 규제 강화, △중국 금융시장 내 유동성 저하 등을 들 수 있다.
중국 시사평론가 원샤오창(文小彊)은 “P2P 업체들이 채권자 유치 증대를 위해 은행 예금금리보다 훨씬 높은 10%과 20%에 달하는 높은 이율을 내걸었고, 일부 업체들은 피라미드식으로 시민의 자금을 가로챘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중국 내 경기침체로 인해 디폴트 기업이 증가해, P2P 금융 투자자들의 손실이 더욱 확대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중국 화하시보(華夏時報)는 지난 21일, 중국 국가 인터넷 금융연구센터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P2P 금융 거래규모가 지난 6월말까지 7.3조 위안(약 1209조원)을 넘었지만, 같은 기간, 채권자에 대한 미반환 자금 규모는 1.3조 위안(약 215조원)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최근 들어 투자자들의 피해 증가 관련 시위가 크게 늘어나고 있어, 중국 사회에 새로운 불안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 13일, 선전시에 있는 P2P 업체 ‘선전투자자금융정보서비스 유한공사’가 사업을 폐쇄했다. 이에 대해 선전시 경찰은 다음날부터 이 회사가 다단계식 운영을 한 혐의에 대해 수사를 시작했다.
이 회사 투자자 400여 명은 선전시 정부청사 앞에서 모여 자금 반환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다.
이 업체 홈페이지에 따르면, 이 회사는 2014년에 설립됐으며, 서비스 이용자와 대차 규모는 각각 29만 명, 266억 위안(약 4.4조원)이다.
앞서 지난 2015년에는 P2P 업체 ‘e조보(租寶)’ 의 투자 프로젝트 중 90% 이상이 다단계 방식인 것으로 판명돼, 피해를 입은 투자자들이 중국 각 지역에서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이 업체는 중국 전역에서 약 90만 명의 투자자들로부터 500억 위안을 가로챈 것으로 밝혀졌다.
김주혁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