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이 주요 하천 수질악화 개선을 위한 대책을 내놨습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16일 중국 국무원은 2020년까지 창장(長江), 황허(黃河) 등 7대 중점유역의 수질 개선을 위한 '수(水)오염방지행동계획(水十條)'을 발표했습니다.
국무원 측에 따르면 이번 계획안은 중국의 주요 하천인 창장, 황허, 주장(珠江), 쑹화장(松花江), 화이허(淮河), 하이허(海河), 랴오허(遼河) 등 7대 중점유역의 70% 이상의 수질을 3등급 이상으로 개선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수질은 1∼3등급의 경우 정화처리 후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고 4등급은 공업용수, 5등급은 농업용수로 주로 활용됩니다.
이에 따라 수도 당국은 2선 도시인 디지급(地級及)이상에서 악취가 나는 오수비율을 10% 이내로 통제하고 음용수 수질 개선에 노력해 3급 이상이 93%를 넘도록 할 방침이며, 또 해안 근접 지역의 경우 1, 2등급 수질이 70%에 이르게 할 계획입니다.
한 관계자는 이번 방안으로 징진지(京津冀, 베이징·톈진·허베이 등 수도권 약칭) 유역의 등급에 미달되는 오수비율을 낮추고 창장 삼각주, 주장 삼각주 유역에서는 오수를 아예 없앨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중국은 현재 심각한 수질오염과 수자원 부족 문제에 시달리고 있으며, 대부분의 주요 하천은 오염됐고 많은 호수가 녹조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수질개선사업에 약 5조7천억위안(1천조원)의 국내총생산(GDP) 증가분이 필요할 것"이라면서, "실질적인 수질개선 효과와 경기회복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