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이지운특파원] 중국 고교생들은 한국 사람이 ‘친절하고 예의 바르며 다정다감하다.’고 생각하는 반면, 한국의 고교생은 중국인에 대해 대단히 부정적인 인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중국 언론 등에 발표된 ‘한국·중국·미국·일본 4개국 고교생 의식 조사’ 결과, 한국 고교생은 중국인이 ‘관용과 인내력이 부족하고 솔직하지 못하며 법규를 준수하지 않고 게으르다.’고 여기고 있다.
이는 한국청소년개발원, 중국청소년연구센터, 일본청소년연구소와 미국의 한 여론조사 기관이 2005년 11월부터 1년여에 걸쳐 156개 학교 730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다.
이에 따르면 4개국에 대한 상호 호감도 조사에서 중국과 한국은 가장 큰 편차를 드러냈다. 중국 학생은 50%가량이 한국을 좋아한다고 답했으나 중국을 좋아한다는 한국학생은 7.2%에 불과했다. 쑨윈샤오 중국청소년연구중심 부주임은 “한류의 영향으로 중국 청소년은 한국문화에 친숙한 데 반해 한국은 중국 문화와의 접촉이 적어 이해가 부족한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성공에 대한 열망은 중국 학생들이 가장 높았다.‘보통의 삶에 만족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미국 학생의 71.7%, 일본 학생의 66.3%가 그렇다고 대답했으나 중국은 41.2%에 그쳤다. 한국은 48.4%였다. 중국 전문가들은 “중국이 기회와 경쟁, 도전이 많아 미래에 대한 동경을 많이 갖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인민일보는 ‘자식 성공에 대한 부모의 갈망’은 중국이 가장 높은 줄 알았으나 1등은 한국이었다고 놀라워했다. 자식에 대한 아버지의 기대는 한국이 76.7%, 미국 69.2%, 중국은 62%였다. 어머니의 기대는 한국, 일본, 미국, 중국 순이었다.‘남이 뭐라든 내 방식대로 산다.’는 것도 한국학생이 가장 높았다.
가정생활 만족도는 중국 87.3%, 미국 83.1%, 일본 79.4%였다. 한국은 꼴찌였다. 국가에 대한 관심사는 중국이 가장 높았다.
[서울신문]
j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