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파우파와 무관하게 무지 무식한 중국,일본의 수구파 들이 반듯이 곰곰히 생각 해야 할 글이다.
----------------------------------------------
20c 이전부터 전개되어온 동아시아 각국의 문맹해소 노력
한자를 사용하던 아시아 각국에서 문맹률이 너무 높아 20세기 이전부터 문맹해소를 위해 많은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 아시아 각국의 역사를 살펴보면 문맹과 한자는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문맹해소 노력중 그 대표적인 노력이 한자폐지다. 한자는 전세계에서 가장 배우기 어렵고, 후진적이고(한자는 현재 지구상에 서 사용되는 유일한 청동기시대 문자다), 사용하기 어럽고, 복잡한 문자다. 한자의 이런 특성때문에 한자를 사용하는 국가들은 과거에 문맹률이 아주 높앗다.
그런데,문맹해소를 위해 한자폐지를 하고 표음화를 하려던 여러 노력을 일부 사람들은 공산주의,사회주의,좌파.좌익과 연관시키는 사실과 전혀 다른 주장을 하고 있다. 한자폐기는 좌파,우파와 전혀 무관한 문맹해소가 그 목적이다. 한국,베트남뿐아니라, 일본,중국의 경우도 문맹해소를 위해 한자를 폐기하려 햇지만, 수구파들의 반대로 불가능햇다. 그러면, 한국,일본,중국,베트남의 경우를 각각 살펴보자.
한국의 경우 19세기 말부터 당시 개화파들은 "문맹해소"를 위해 한글전용을 주장해 왔고, 20세기 초반(일제시대포함)에도 마찬 가지다. 광복후, 북한의 경우 공산정권이 문맹해소를 위해 한자사용을 폐기햇으며, 남한의 경우에도 문맹해소를 위해 건국초기부터 한글전용이 강조되엇고,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한글전용이 보편화 된것이고, 박정희 대통령 시절, 한글전용법이 채택 되엇다. 사실상 지금은 한글전용이 정착단계이고, 표음화가 완료되엇으며, 문맹도 해소되엇다.
베트남의 경우 17세기에 서양선교사들이 베트남 사람들의 문맹 해소를 위해 로마자를 기본으로한 베트남어 표음화 체계(Quốc Ngữ )를 만들어 베트남 사람들에게 가르쳣다. 베트남에선 그후 Quốc Ngữ와 한자를 동시에 사용햇다. 20세기초까지 마찬 가지였다. 그 후론 점차Quốc Ngữ 가 시간이 지나면서 확산되엇다. 공산화이후 널리 사용되지 않던 한자(Chữ-nôm )를 공산당이 폐기 햇고, 1993년까지도 호치민대학에서 한자를 가르쳣다고 한다. 그러나 그 후론 더이상 한자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은 없엇다고 한다. 사실상 베트남에선 공산화 되기 이전부터Quốc Ngữ이 일반화 되엇으며, 20세기 후반엔 완전한 표음화가 실현 된것이다. 문맹도 해소 되엇다.
일본의 경우 메이지유신시절, 한자를 폐기하고 히라가나,카나카나만 사용하던지, 로마자를 사용해서 일본어를 표기해 완전한 표음화를 실현하려햇지만, 메이지정부내에 수구파들의 반대로 실패햇다. 물론 당시 한자폐기의 목표는 문맹해소 였다고 한다. 그 후 한자폐기는 실패햇지만, 한자의 수를 2000자 이내로 줄여 상용한자로 채택하고, 한자 읽는 법(후리가나)를 함께 표기해 문맹해소를 위해 노력햇다고 한다. 그러나 여전히 일본에서는 문맹해소가 이루어 지지 않앗다. 고등학교를 졸업햇어도 잃지 못하는 한자가 많아 아직 방송 ,신문에선 한자의 일부에 한자읽는법(후리가나)를 추가한다.
중국의 경우, 공산화 되기 훨씬 이전인 1900년대 초부터 문맹해소를 위해 한자 간소화, 한자폐지, 표음문자화, 로마자 사용 표기를 위해 노력해 왔고, 공산화가 된 이후에도 마찬 가지다. 그러나 수구파들의 반대로 실패햇다. 한자폐지는 실패하고, 한자간소화에는 성공햇다. 중국본토의 간체자 2400자가 그것이다. 한자 표음화(로마자 사용, 병음)는 한자를 폐지하고, 중국어 표기의 기본으로 사용하려 했지만, 수구파들의 반대로 불가능해 지고, 동시 사용만 이루어 져왓다. 간체자 덕분에 문맹은 어느정도 해소되엇다. 그러나 여전히 중국의 문맹은 50-60%에 달한다. 최근에도 중국에선 문맹해소를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 지고 있으며, 중국의 초등학교에선 한자를 로마자로 표음화한 병음부터 가르친다고 한다. 사실 중국에선 한자를 폐기하지 않고는 문맹해소를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여겨 지고 있다. 그래서 초등학교 교육에선 로마자병음을 먼저 가르치는 것이다. 특히 중국의 상황은 홍콩,마카오,대만과 달리 13억을 넘은 인구다. 한자를 사용해 교육으로 문맹을 해소 한다는 자체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다. 여전히 중국에선 문맹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