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산업지대에서 배출되는 ‘수은(Hg)’이 국내 대기를 오염시키고 있으며, 수은에 많이 노출된 산모는 조산아를 낳을 위험이 정상인에 비해 3∼5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이승묵(대기오염관리 전공) 교수팀은 29일 “전 세계 수은 배출량의 절반을 차지하는 중국의 주요 산업지대가 국내 대기 중 수은의 ‘중요한 오염원’이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미국을 비롯한 국제 학계에서는 수년 전부터 중국발(發) 수은 오염실태 등에 대한 연구 결과를 내놓고 있으나, 국내에서 이런 연관성이 규명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 교수팀은 2004년 1월∼지난 2월까지 서울 연건동에서 채취한 2만 400개 수은 시료에 대한 성분분석과 바람의 이동경로 역추적 그리고 중국 내 수은 배출량 자료 등을 비교·분석한 뒤 이런 결론을 이끌어냈다.
이 교수는 “국내 수은 오염에 대한 중국의 영향이 확연히 드러났으며, 구체적 오염비율은 현재 조사 중”이라고 말했다.
이화여대 하은희(예방의학교실) 교수팀은 임신∼분만까지 일반 산모 85명을 상대로 추적조사한 결과, 제대혈(탯줄혈액) 수은농도가 높을수록 조산아(37주 미만) 출생 위험이 최고 5.3배나 높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이 교수는 “수은농도 상위 50%군은 하위 50%군보다 3.1배, 상위 25%군은 하위 75%군보다 5.3배가 높았다.”고 말했다. 아말감 치과치료와 생선섭취 빈도 등이 주요 원인이었다.
이 연구결과는 지난 27일 열린 한국대기환경학회와 대한예방의학회 학술대회에서 각각 발표됐다.
박은호기자 unopark@seoul.co.kr
ⓒ서울신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