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국으로 돌아오는 중국유학생, 2류인재인가”
귀국인원의 소질은 어떠한가? 홍콩과학기술대학의 “중국 초국적 관계 연구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단지 일부 “귀국”자들만이 고 임금과 안정된 작업을 희생하고 귀국한 것이며, 그 중 창신 연구 인재는 더욱 적다.
지난 30년, 중국은 줄곧 서방 국가의 거대한 인재 출처였다. 수출한 인재는 주로 홍콩에서 왔다. 하지만 많은 홍콩사람들은 1997년 주권 이전 후의 정치 불확실성을 걱정하여 타향을 떠났기 때문이다. 하지만 주권 이전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됨에 따라, 해외로 떠난 홍콩사람들이 또 다시 들어오기 시작했다.
중국 내륙에서도, 유사의 “봉환소” 가극이 상영되고 있다. 2005년, 해외에서 귀국한 인재는 3만 명에 이르렀고, 1999년 때의 7000명을 크게 초과하였다.
중앙에서 지방까지, 우리나라 각급 정부는 줄곧 적극적으로 해외 유학생의 귀국을 격려하고, 해외에 적합한 정치 환경과 문화적 분위기를 조성하며, 이런 “귀국자”에게 자금지원을 제공하였다.
중국과학원은 현재 해외에서 도입한 인재에게 인민폐 200만 위안의 자금지원을 제공하고 있고, 그 중 20%는 직접 지원받는 자의 임금으로 될 수 있다. 그외 또한 다른 대우를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평생 직무, 주택을 제공하고, 현대화 실험실과 실험 설비를 갖춰주며, 대학원생과 기타 연구원으로 구성된 연구 단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지방정부도 앞다투어 해외 인재를 흡인하고 있다. 많은 도시에서는 대량의 격려 조치를 추진하고, 주택 보조를 제공하며, 배우자 직업을 해결해 주고, 자녀에게 국제 학교를 제공하고, 외국 공민 신분증 보존을 허락하는 등등이 포함된다.
중국 정부는 성공적으로 해외유학생의 귀국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하지만 자비 학생이 증가함에 따라, 일부분의 학생들은 불가피하게 귀국할 것이다. 그리고, 맥킨지 회사의 최근 연구보고에 따르면, 중국은 현재 고 소질 엔지니어의 결핍 국면에 처하고 있다. 이것은 해외유학생을 위해 진정한 기회를 만들고 있다.
하지만 많은 토론과 데이터에서 나타난 것처럼, 중국은 현재 새로운 단계에 처하고 있다. 해외 학생과 귀국 인원의 증가는, 중국에 새로운 문제를 가져다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