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정치] 고구려 연구재단이 2004년 11월부터 자체 연구서를 통해 중국의 동북공정에 정치적 의도가 명백하고 왜곡된 발해사의 중국 역사교과서 등재 가능성을 경고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이를 묵살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나라당 박찬숙 의원이 12일 고구려 재단에서 제출받아 공개한 ‘고구려 재단 도서 발송대장’에 따르면,재단은 동북공정 관련 연구·번역 출간물 15권을 2005년 1월부터 관련 정부 부처 41곳에 지속적으로 보냈다. 고구려 재단은 동북공정을 통해 본격화된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응하기 위해 20004년 3월 교육부 산하에 설립된 학술 연구기관이다.
재단측이 연구서를 발송한 기관은 동북공정 대책 관련 주무 부처인 국가안전보장회의(NSC)와 국무총리실,교육인적자원부,외교통상부,문화관광부 등이 망라돼 있다.
재단은 발간한 연구서에서 중국의 동북공정을 연구하는 ‘중국변강사지연구중심 학술위원회’가 고구려·발해사를 학술적 차원이 아닌 정치적 목적을 갖고 연구 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꾸준히 지적했다.
특히 재단은 2004년 말 발간한 동북공정 관련 번역서 ‘중국의 동북변강 연구’에서 “동북공정을 추진하는 중국측 핵심인사들은 한결같이 동북공정의 학술적 성격뿐만 아니라 정치적 성격을 강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재단은 이어 ‘중국의 발해사 연구 동향’을 통해 “2002년 동북공정 시작 이후 발해사 연구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면서 “왜곡된 발해사가 중국 교과서에 등재될 가능성이 높다”고 정부측에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그러나 이같은 재단의 연구 성과는 정부의 동북공정 대책에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재단이 동북공정의 정치적 목적을 연구서에서 분명하게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동북공정은 중국의 학술 연구 작업으로 역사 왜곡 문제는 정치화하지 않고 학술 교류를 통해 해결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박 의원은 “고구려 재단이 연구를 통해 조기 경보를 울렸지만 정작 연구를 지시한 교육부 등 주무 부처는 이를 정책에 반영할 의지조차 없었던 것으로 드러난 셈”이라며 “동북공정에 대한 참여정부의 업무 해태를 보여주는 증거”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이제라도 정부는 재단의 연구성과를 철저히 검토해 정책에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
ⓒ 국민일보 쿠키뉴스(ww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