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열린우리당 유기홍 의원은 8일 이규형 외교통상부 제2차관에게 “중국이 단독으로 백두산의 세계 자연유산 등재를 검토하고 있는데 대책이 있느냐.”고 물었다. 이 차관은 “아직 없다. 앞으로 강구하겠다.”고만 했다. 이날 국회 ‘독도 수호 및 역사왜곡 대책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는 중국의 동북공정을 놓고 이처럼 ‘대책 없는’ 우리 정부의 대응자세가 도마에 올랐다. 여야 가릴 것 없이 한목소리로 정부측을 매섭게 질타했다.
유 의원은 “앞으로 애국가 가사는 ‘동해물과 장백산’이 되는 것이냐.”고 꼬집었다. 이어 “조선족 학생이 배우는 교과서에는 발해가 말갈족이 세운 나라로 되어 있고, 세계 최초의 목판인쇄술로 우리가 자랑하는 다라니경이 중국에서 건너온 것으로 돼 있는데 교육부는 어떻게 대처하고 있느냐.”고 캐물었다.
같은 당 정성호 의원도 “외교부가 준비해 온 보고 자료가 대한민국 정부의 자료인지, 중국을 대변하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비꼬았다.
관련 부처 간에 ‘대응 온도차’가 존재하는 데 대한 질타도 쏟아졌다. 한나라당 박찬숙 의원은 “국무조정실이 외교부에 제출한 문서에는 동북공정 주관 기관으로 ‘중국사회과학원 변강사지 연구중심과 동북 3성의 사회과학원, 대학의 연구소들’이라고 명시돼 있다.”면서 “국무조정실이 변강사지 연구중심을 동북공정 프로젝트의 주관 기관으로 보고 있음에도 외교부는 정부 입장이 아니라고 말하는 것은 너무 안이한 판단”이라고 질타했다.
같은 당 이해봉 의원도 외교부가 지난해 10월 국회에 보고한 ‘동북아역사재단 설립 관련 설명자료’를 근거로 “정부가 지난해 동북공정을 사실상 중국의 전략으로 규정했으면서도 최근 논란이 일자 단순한 연구기관의 주장으로 일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여야 5당 원내대표는 이날 회담을 갖고 동북공정 등 중국의 역사 왜곡에 대해 깊은 우려와 유감을 표시하고 초당적으로 대처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를 위해 지난 7일 국회 통일외교통상위가 채택한 ‘동북공정 등 중국의 역사왜곡 중단 및 시정촉구 결의안’을 적극 지지하는 한편 6월 임시국회에서 구성된 ‘독도수호 및 역사왜곡 대책 특위’를 적극 가동하기로 했다.
박지연기자 anne02@seoul.co.kr
“새 감각 바른 언론”
- Copyrights ⓒ서울신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