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전통문화를 체계적으로 대체
1. 무신론(無神論) 선전
2. 유물론 선전
3. 전통문화 부정
4. 마르크스, 엥겔스, 레닌, 마오의 위대함을 선전
전 세계적으로 모든 고대문명과 문화는 다 신화에서 시작한다. 만물을 환화(幻化)시키는 인도 시바의 춤, 아테네 제우스 산의 여러 신들의 경이로움, 여호와의 일념(一念)으로 세계를 창조하고, 이집트 태양신 및 수많은 호법(護法), 중국의 반고(盤古)와 여와(女?)의 위대한 신화 등은 모두 이런 고대 문명들이 시작한 내원이다. 수천 년 동안 인류의 활동 역시 모두 신(神) 또는 하늘의 보호감독과 계시 하에 전개된 것이다.
중국인들은 자신의 고향을 신주(神州)라고 부르는데 신의 나라라는 뜻이다. 중국인들은 황제를 “천자(天子)”라고 불렀는데 이는 곧 하늘의 아들이란 뜻이다. 천단(天壇)은 황제가 천지신명에게 제사를 드리는 곳으로 그 면적이 자금성보다도 4배나 크다. “하늘의 도를 살피고 하늘의 뜻을 따르며 모든 것이 그 속에 있다.”(觀天之道,執天之行,盡矣.) 이 말은 《황제음부경(?帝陰符經)》 서두에 나오는 말이다. 이는 곧 중화민족이 문자를 기록하기 시작할 때 처음 했던 말인 하늘의 도를 관찰하고 하늘의 뜻에 따라 하며 모든 도리가 그 속에 깡그리 포함되어 있다는 말과 같다.
중국인들은 비단 “하늘”을 숭배할 뿐만 아니라 또 “하늘” 중에서 그 가장 오래된 “노천야(老天?)”를 숭배하는데 이는 우주에 대한 중국인들의 존경심이다. 중국인들의 기억 속에 반고가 천지를 열고 여와가 사람을 만드는 데서부터, 신농(神農)이 백초(百草)를 맛보는 데까지, 신은 인류를 이끌고 홍몽(鴻?)을 개벽할 때의 어려운 세월을 지나왔다. 중화의 멀고 오래된 반신(半神)문화는 침구, 역경, 팔괘 등 문명을 남겼으며, 비록 몇 천 년이 흘러갔지만 오늘의 인류는 여전히 경탄만 할뿐 완전히 이해할 방도를 찾지 못하고 있다.
헌원황제(軒轅黃帝)가 신선 광성자(廣成子)에게 도를 묻고, 공자가 노자를 향해 도를 물은 이야기부터, 불법(佛法)이 동으로 전해질 시기가 되기까지, 유불도는 중국인들을 위해 덕을 중시하고 선을 행하는 문화의 내포를 다져주었으며 정통적인 신전문화(神傳文化)를 남겨주었다. 분명한 것은 중국의 전통문화 중에서 인간세상의 규칙 외에 또 “하늘”과 통하는 부분이 있다는 것이다. 사람들의 마음속에는 명확하지는 않지만 보이지 않는 곳에 존재하는 세속을 초월한 세계에 대한 동경을 하고 있다. 중국인들이 말하는 겸손함의 진정한 내포는 바로 신에 대한 경외심이다. 심지어 나라에서 발생하는 어떠한 천재인화(天災人禍)도 모두 “천자” 자신의 문제와 관계가 있으며 그러므로 황제는 자신을 반성할 필요가 있으며 대사면을 하거나 혹은 목욕재계 하고 신과 하늘을 공경해야 한다.
그러나 지난 세기 공산주의가 인간세상을 어지럽히고 중공이 정권을 탈취한 후 공산당 통치를 유지하기 위해 중공은 전면적으로 중국의 신전문화를 훼멸시키는 폭력적인 운동을 펼쳤으며, 체계적으로 전통문화를 대체하고, 비자연적인 당문화 체계를 건립하기 시작했다. 그 대체과정에서 나타나는 계통적인 체현을 보면, 중공은 “무신론”으로 몇 천 년 동안 내려온 신에 대한 중국인들의 신앙을 단절시켜버렸고 또 공산당의 “유물론”을 세계와 역사를 인식하는 기본적인 방법으로 삼아 사람들에게 강제로 주입했으며 폭력과 투쟁을 위해 이론적인 지도를 찾았다.
동시에 공산당의 가치관으로 정화(精華)적인 것과 쓰레기, 선진적인 것과 열악한 것을 판단하고 전면적으로 중국의 정통적인 전통문화를 부정하여 민족 문화의 뿌리를 잃게 했다. 그런 후 “무신(無神), 유물(唯物), 문화의 뿌리가 없어진” 중국 인민들 앞에 마르크스, 엥겔스, 레닌, 마오쩌둥의 위대함을 선전했고 “신은 사람이 만들었다”는 이론을 크게 선전했다. 이러한 지경에 이르자 실천 중에서 변이된 이런 일련의 문화로 중국 인민들의 사상을 개조시킴과 동시에 하늘을 반대하고 땅을 반대하며 인성을 반대하는 당문화이론 체계가 확립되기 시작했다.
3. 전통문화 부정
서론에서 묘사한 것처럼 중국의 전통문화는 일종의 반신(半神)문화이다. 신전문화(神傳文化)는 중화 문화의 여러 방면에서 반영되었으며, 또한 민간의 생활 중에서도 깊은 뿌리를 내렸다. 세속의 다른 절반에서 중국인들은 사회윤리를 일종 신앙으로 삼았는데 충효인의(忠孝仁義)는 도덕과 품덕(品德)의 정도를 확정하는 가장 중요한 표준이 되었다.
중국에서 불충(不忠) 불효(不孝) 불인(不仁) 불의(不義)하다면 그 사람은 사회에서 계속 존재할 수 없다. 『시경(詩經)』 「주송(周頌)」에 이르기를 “유천지명, 어목불이(維天之命,於穆不已)”라 하였으니 상천(上天)의 명령은 영원히 몹시 엄숙한 것이다. 중국 고대에 신령(神靈)은 늘 이름을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는 형식으로 ‘하늘’의 뒷면에 몸을 숨기고 있다. 중국인들은 도덕과 세속 생활의 최종 재판관은 의심할 바 없이 ‘신(神)’이라는 것을 굳게 믿고 있다.
불교가 중국에 전해진 후 중국 민간에서는 점차 천당, 지옥과 환생, 선악에 보응이 따른다는 것을 확고히 믿기 시작했다. 이러한 관념과 윤리에 대한 중국인들의 견지는 하나의 공통적인 가치 기초를 형성했고 중국 전통문화의 기초가 되었다.
중국문화 중에서 보다 중요한 부분은 중국 전통지식인들이 담당했다. 이 한 부분은 역사를 거울로 삼아서 지난날을 알고 흥망성쇠를 미리 아는 기초가 되었다. 세계적으로 어떠한 민족이건 중국인들처럼 그렇게 역사를 중시하는 민족은 없다. 중화 민족이 문자를 창조한 초기부터 역사를 기록하는 것은 곧 역대의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한자를 창조한 창힐(倉頡)은 바로 헌원(軒轅) 황제의 사관(史官)이었다.
혼란한 춘추 시대에 제(濟)나라의 백(伯), 중(仲), 숙(叔), 계(季) 4명의 태사(太史) 중 3명이 참수를 당했다. 원인은 단지 한 마디인 “여름 오월(五月) 을해(乙亥)일, 최저(崔?)가 그 군주인 광(光)을 시해했다.”는 사실을 쓰기 위해서였다. 죽간(竹簡)에 글을 쓰기란 아주 어려운데, 사마천(司馬遷)은 궁형(宮刑)을 당한 후 어두운 등잔불 아래서 죽간에다 50여 만자의 《사기》를 써냈다. 한나라 이후 ‘격대수사(隔代修史 역주: 전 대의 역사를 다음 대에 기술하는 것)’의 전통은 중국으로 하여금 세계에서 유일하게 연속적이고도 정확하며 믿을 만한 역사를 가진 나라로 만들었다.
역대로 역사를 기록한 사람은 모두 당대의 대 유학자들로, “사학(史學), 사식(史識), 사재(史才), 사덕(史德)”을 겸비해야 했다. 사건을 기록한 후에는 늘 “태사공왈(太史公曰)” 혹은 “신광왈(臣光曰)”과 같은 유의 평론이 있었다. 이러한 평론들은 유가(儒家)의 관점에 서서 한 사건에 대한 저자의 시비(是非)평가를 체현해 낸 것이다. 그러므로 중국의 사서는 진실한 역사사건을 기록해 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당시의 관제(官制), 천문(天文), 지리(地理), 수리(水利), 상업, 병법(兵法), 음악, 과학 등 방면의 백과사전식 저작도 포함되어 있다. 이 속에는 역사기록자가 갖고 있는 유가 도통(道統)도 포함되어 있다.
유가의 이런 역사관은 두터운 중화 전통문화를 계승했으며, 이는 또한 중공이 처음부터 즉각 소멸할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공산당이 중국문화를 소멸하는데 사용한 큰 무기가 바로 역사유물주의이다.
역사유물주의는 역사 발전을 ‘계급투쟁’의 결과와 생산력 및 생간관계 사이의 모순의 결과라고 해석하며 또한 무산계급이 곧 자산계급과의 투쟁에서 정권을 세울 것이라고 ‘예언’했다. 아울러 공산당은 무산계급의 선봉대로서 자연히 권력을 장악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계급분석의 방법에 따라 고대 제왕과 지식인들이 아무리 많은 좋은 일을 했든지 막론하고 착취계급을 대표했기에 모두 마땅히 부정과 비판을 받아야 했으며 폭동을 일으킨 반역자들은 비록 그들이 아무리 많은 사람들을 살해했거나 아무리 많은 부녀들을 간음했어도 그들은 무산계급 혹은 피압박자에 속했기에 모두 부추기고 찬양받게 되었다. 그러나 백성들을 위해 온 힘을 쏟은 청렴한 관리들에 대해 중공은 ‘계급모순’을 완화해 지주계급의 통치를 연속시켰다고 여겨, 온갖 악한 짓을 다 자행한 탐관오리보다 오히려 더 심한 비판을 가했다.
중국인들은 “생사는 명에 달렸고 부귀는 하늘에 달렸다[死生有命 富貴在天]”와 “선악에는 보응이 있다[善惡有報]”는 것을 믿으며, 부귀와 명리(名利)는 모두 전생과 금생에 쌓은 인과(因果)로 여겼다. 부귀하든지 빈곤하든 지간에 ‘출세하면 겸하여 천하를 다스리고 궁핍하면 홀로 그 몸을 수양한다[達則兼濟天下,窮則獨善其身]’이므로 공산당의 ‘계급투쟁’사관이 주입한 “지금까지 모든 사회의 역사는 다 계급투쟁의 역사”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았다.
중국의 문화는 포용적인 문화로 유불도 3교가 공존한다. 즉 유가학설 중에서는 정주리학(程朱理學, 성리학)과 육왕심학(陸王心學, 양명학)이 공존한다. 도가에서는 남방의 정일교(正一敎)와 북방의 전진교(全眞敎)가 공존하고 불교에서는 선종, 정토종, 천태종, 화엄종 등 다양한 종파가 공존한다. 서양의 기독교, 천주교, 동방정교(그리스 정교), 유태교, 회교 등 역시 중국문화와 화목하게 지내고 있다. 이는 모두 중국인의 넓은 포용성과 조화를 중시하는 정신을 나타낸다. 중국에서는 지금까지 각기 다른 종교 사이의 전쟁이나 종교 내부의 각기 다른 교파 사이의 전쟁이 일어난 적이 없다.
이런 종류의 포용사상은 중공의 투쟁사상과는 완전히 대립되므로 반드시 소멸할 대상이었다.
중공은 ‘투쟁’을 위해 투쟁한 것이 아니다. 여기에는 적어도 두 가지 목적이 있다. 사람들은 서로간의 투쟁 속에서 믿음을 잃었고 흩어진 모래알처럼 되어 중공이 통제하기 쉬워졌다. 더욱 중요한 것은 중공이 조고(趙高)의 “지록위마(指鹿爲馬·진나라 때 간신 조고가 황제에게 사슴을 바치며 말이라고 강변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모순된 것을 우겨서 다른 사람을 속이려는 짓)” 권모술수를 부렸다는 것이다. 즉, 조고는 ‘지록위마’를 인정하는 사람은 마음 놓고 중용했고 침묵하는 자는 당연히 양심이 남아 있기에 배척했으며, 반대하는 자는 죽여 버렸다.
그러나 조고의 ‘지록위마’는 단지 궁중 권모술수에 불과했지만 중공의 ‘지록위마’는 오히려 전 국민의 참여를 강요하는 ‘대중문화’로 되었다. 예를 들면 ‘토지개혁’, ‘진반(鎭反)’, ‘상공업개조’, ‘연극계의 제도개조, 사람개조와 극 개조’ 등 여러 운동이며 모두 ‘지록위마’의 검증이었다. 사람들은 모두 반드시 참가해야 했고 반드시 태도를 표시해야 했다. 이것이 아니면 저것이 되는 2원화의 세계 속에서 중공과 같은 편에 서지 않는 사람은 즉시 투쟁의 대상이 되었다.
도가는 ‘진(眞)’을 숭상하고 불가는 ‘선(善)’을 닦는 것을 근본으로 하며 공자는 ‘인(仁)’과 ‘신(信)’을 주장했다. 그러나 공산당의 역사는 바로 ‘거짓(假), 사악(惡), 투쟁(鬪)’의 역사이다. 1987년 중공이 통과시켰던 당안법(?案法) 제19조 규정에 따르면 일반 당안은 30년이 지나면 공개할 수 있으며 일반 공민들도 모두 열람할 수 있다. 그러나 중공은 지금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항일, 내전, 진반, 토지개혁, 대기근 등에 관한 역사적 자료를 공개할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으며 마오쩌둥, 저우언라이가 스탈린과 체결한 중소비밀조약을 감히 공개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거짓으로 은폐시켰던 죄악이 폭로될까 두렵기 때문이다.
확실히 유물주의는 정신영역에 대해 매우 무능력하다. 그중에서 ‘미(美)’가 바로 한 예이다. 비온 후의 무지개, 석양에 물든 저녁풍경을 유물주의자들은 오직 전자기파의 서로 다른 스펙트럼이라고 분석할 수밖에 없다. 사랑에 대해서는 인류 자신의 호르몬의 변화일 뿐이라고 설명한다. 인류의 고귀한 정조(情操)에 대해선 자질구레하고 범속한 보잘 것 없는 은혜라고 이해한다.
본질로부터 말하면 인성의 그 어떤 아름다움도 모두 공산당 통치에 장애가 된다. 그러므로 중공은 늘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어휘인 “인성론(人性論)”을 발명하였다. 당원에 대해 말하자면 ‘당성(黨性)’으로 ‘인성(人性)’을 압도할 것이 필요하며, 보통사람으로 말하면 ‘인성’은 또한 혁명이 철저하지 못한 표현으로 본다.
중공은 문예 선전 중에서 늘 ‘금욕주의(禁慾主義)’의 기치를 높이 치켜들고 사랑을 부정하고 가정을 부정한다. 그러나 최근 10년간 중공은 이미 ‘금욕주의’에서 180도 돌변하여 ‘종욕주의(縱慾主義 역주: 욕심에 따라 마음대로 한다는 의미)’를 부추기고 있다. 이러한 것들을 볼 때 중공의 예전의 작법과 서로 상반되는 정책 같지만 이러한 것들은 오히려 동일한 원인에서 출발한 것이다. 즉, 중공이 과거에 사람들에게 금욕하게 했던 목적은 공산당에 충성을 다하도록 시키기 위함이었고 당성이 가정과 인성보다 높게 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오늘날 중공의 이데올로기는 파멸되었다. 중공은 사람들더러 매춘, 도박, 마약, 하룻밤의 정사, 축첩에 빠지게 하는데 그 목적은 사람들의 도덕을 황폐화시켜 미친 듯한 향락 중에서 공산당을 반대할 겨를이 없게 하려는 것이다. ‘좌우에서 협공’하는 이런 방식은 중공의 통치역사 중에 도처에 널렸으며 중공 통치를 수호하기 위한 배후의 목적은 일관적이었다.
유가 문화의 핵심은 가정윤리로, 이런 가족 윤리가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육친정과 인애(仁愛)이다. 공산당 선전 중에는 계급감정으로 육친정과 우정을 대체했다. 예를 들어 리위허(李玉和)가 부르는 노래처럼 “사람들은 세상에서 오직 육친정과 의리가 중요하다고 하지만 내가 볼 때는 계급의 정과 의리가 태산보다 무겁다.”라고 선전한다. 이른바 “친하냐 친하지 않으냐는 계급으로 나누어야 한다.”는 것인데 아울러 경계선이 분명한 단어인 ‘동지’를 발명해냈다.
서로 ‘동지’가 된 자는 곧 혁명 대가정의 일원이며 반대하면 모두 단호한 탄압대상이 되었다. 그러므로 ‘동지’냐 아니면 ‘적’이냐 하는 간단한 이원 대립관계로 일체 사회관계를 구분했으며 육친 혹은 친구 관계를 능가하는 곳에 올려놓았다. 계급투쟁이 필요할 때는 부자간에 반목하고 부부가 원수가 되어 서로 고발하고 투쟁하며 자신의 육친을 구타하는 것으로 자신의 계급성이 인성보다 강하다는 것을 표시하면서 당에 대한 충성을 표시한다.
중공의 선전 중에는 “원한을 깨물고 원한을 깨물며, 원한을 억지로 삼키노니 원한은 맘속에 깃들어 싹이 트누나”와 같은 노래가사가 중국을 가득 메우고 있다. 원한은 공산주의 동력 중 하나로서 또한 더욱 중요한 일종의 공산주의 감정이다. 원한의 반복적인 주입은 중공 각종 군중 운동을 추진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인간 세상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동정, 관심과 사랑, 선량함 등은 이로 인해 공산주의의 천연적인 적이 되었으며 반드시 제거할 대상이 되었다. (계속) / 에포크타임스
편집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