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23일 경희대 평화의 전당에서 열린 신운예술단 2번째 공연을 관람한 하트코리아(한류컨텐츠
회사)의 박한섭, 임정화씨는 전체적으로 예술적 감각이 뛰어난 공연이라고 격찬했습니다.
박한섭씨는 북치는 동작이 역동적인 대당고리(大唐鼓吏)를 꼽으며 전체적으로
균형이 잘 맞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예술적인 감각이 굉장히 뛰어난 거 같네요. 장구(북)치는
모습....전체적으로 균형이 잘 맞는다고나 할까..”
임정화씨는 이번 공연과 다른 현대무용 공연과의 차이에 대해 선과 색채에서 동서양의
차이가 나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현대적인 그런공연하고 지금 전통적인공연을 봤을때 지금
중국 쪽의 역사나 우리나라 역사나 동양적이다라고 이렇게 느꼈어요. 현대에서는
뭐 동양이나 서양이나 이런 구분이 별로 안되는데 이런 공연을 봤을때 역시 이런
선이나 색채나 이런게 동양적이다 라고 느꼈어요.”
중국인 친구와 같이 온 회사원 고 모씨는 같은 동양의 공연이라서 그런지 한국
공연과 비슷한 부분이 많다고 느꼈습니다.
“한국 무용하고 거의 비슷한 부분이 많이 있는 것 같구요.
제가 칭찬하고 싶은 것은 찻잔을 머리에 이고 하는 무용(몽고 정완무)이 괜찮았엇던
것 같아요. 의상은 한국보다 화려한 것 같고요. 아무튼 그냥 좋아요!”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홍승일, 허운영, 장연식이었습니다.
對중국 단파방송 - SOH 희망지성
http://www.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