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22일 7시 경희대 평화의 전당에서 열린 신운예술단 공연을 관람한 양수희씨는
서울과학고등학교에서 무용교사입니다. 공연에 대해 그녀는 여러 원인으로 국내에서
표현하지 못하는 소망을 해외에서 춤으로 전달하려는 노력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니깐 뭐라할까... 국민들이 소망하는 것을 춤으로 자기
나라에서 발표못하는 것을 해외에 있는 교민들로 하여금 세계에 전달되도록 하나의
문화 전달이 아닐까? 아...국민들이 바라는 염원을 해외에 있는 사람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표현이 아닐까 그런 생각이 듭니다.”
가장 인상적인 장면으로는 ‘승화된 연꽃’의 한 장면을 꼽으며, 인간애를 느꼈다고
말하면서 이러한 인간애를 무용으로 표출한 것이 인상적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표현형태를 북춤이나 단체 무용에서도 마찬가지로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공연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당나라 왕조에 대해 지금의 중국이 바라는
이상적인 시대가 바로 당나라 시대이기 때문일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습니다.
“당나라의 어떤 전성시대를 작품으로 현상시키게 하는 것은
그때가 중국의 가장 평화의 나라이고 부의 나라였기 때문에 그것이 지금 중국이 바라는
염원의 기도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무용 전공자로서 그녀는 공연관람 후 다소 격앙되고 흥분된 모습을 감추지 않고,
같이 관람 온 동료들과 함께 공연소감을 얘기했습니다.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김경아, 장연식이었습니다.
對중국 단파방송 - SOH 희망지성
http://www.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