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에서 시진핑 노선에 반(反)하는 학자, 오피니언 리더들이 실종되거나 해고당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23일(현지시간) '시진핑의 중국 학계에 대한 통제 강화'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중국 당국의 학계에 대한 통제력 강화 실태를 이같이 조명했다.
FT는 먼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강력 비판했다가 조기 은퇴를 강요당한 중국 정부 고위 고문이자 상하이시 당교 교수 후웨이(胡偉)에 대해 소개했다.
후웨이 교수는 2022년 러우전쟁이 발발하자 “베이징은 블라디미르 푸틴과의 관계를 조속히 단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러시아와 밀착을 원하는 시진핑 정책에 반(反)하는 주장이었다.
FT는 후 교수의 주장이 중국내에서 확산되자 중공은 지난해 59세에 불과한 그를 당교에서 강제 은퇴시켰다”면서 “중국 지도부에 조언했던 저명 학자의 은퇴 연령치고는 너무 일렀다”고 지적했다.
후 교수는 강제 은퇴에 동의한 이유로 감옥행은 면했고, 공개행사에도 참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국내는 물론 해외에 있는 지식인들에 대해서도 정치, 국제관계, 경제 등 소위 '민감 주제'에 대한 발언을 억압하고 있다.
이에 따르지 않을 경우 △당국에 의해 알려지지 않은 혐의로 구금돼 실종되거나 △강제 해고 △ 소셜미디어 계정 취소 △다른 형태의 행정적 또는 법적 처벌 등을 받는다.
FT는 위챗(微信·중국판 카카오톡)에 올린 글로 구금 조치를 당한 주헝펑(朱恒鵬) 전 사회과학원 경제연구소 부소장의 사례도 전했다. 그는 시진핑 내각에 자문 활동을 하는 싱크탱크 소속이기도 하다.
지난달 말 중국 매체들은 “주 전 부소장이 최근 '당 중앙에 대한 망언' 혐의로 엄중 처분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중국 칭화대 정치학 강사였던 우창(吳强) 박사도 올해 3월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기간 가택연금에 처해졌다.
우 박사는 홍콩의 친민주주의 우산운동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 정치적으로 민감한 연구를 했다는 이유로, 2015년 실적 평가에서 탈락한 후 계약이 종료됐다.
■ 해외 학자도 표적
일본 등 해외에서 활동하는 중국 학자들도 중공 당국의 표적이 되고 있다.
일본 아시아대학 정치학과 판윈타오(范雲濤) 교수는 지난해 고향인 상하이로 돌아오던 중 실종됐다. 일본 정부는 그와 관련된 사건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중국과의 외교적 충돌 가능성 때문에 진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일본 고베가쿠인대학 후스윈(胡士雲) 교수도 지난해 중국 여행 도중 실종됐다. 대학 측은 지난 3월 그의 행방을 알 수 없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일본 캐논 글로벌연구소의 미네무라 겐지 수석연구원은 “일본은 (중공의 감시)표적이 된 것 같다”면서 중공은 미국과 안보협력을 강화하는 일본에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짚었다.
중국의 소수민족 학자들도 당국에 탄압받고 있다. 저명 위구르 민속학자 라힐레 다우트는 2017년에 실종된 후 비밀 재판을 통해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자국 학자들에 대한 탄압 여부와 관련해 중공 외교부는 “구체적인 상황을 모른다”면서도 “중국은 외국과의 학술교류에 개방적인 태도를 유지하지만, 악의적인 추측과 중국에 대한 근거 없는 중상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런 상황에 대해 미국 프린스턴대의 페리 링크 명예교수는 “중공은 마오쩌둥(毛澤東) 전 주석 통치 기간 교수들의 근무조건, 자녀 학교 등까지 엄격히 통제했다”면서 “당시보단 완화됐지만 중국 당국의 통제는 언제든 정부에 반하는 사람에게 닥칠 수 있는 위협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