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공산당(중공)이 소프트파워(공자학원 개설 및 운영, 언론사·언론인과의 협력 관계, 엘리트들 초청 접대 등) 방식으로 한국에서 악의적(惡意的)인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는 미국 연방의회 보고서가 나왔다.
‘미국의소리(VOA)’ 등에 따르면 지난달 22일(이하 현지시간) 미 하원 외교위원회 공화당 간사인 마이클 맥콜(Michael McCaul·텍사스주) 의원은 보고서 ‘중국의 세계적 악성 영향력 추적(Detailing the CCP’s Global Malign Influence)’을 통해 중공이 국가적 침투 전략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수단을 공개했다.
보고서는 “중공은 한국에서 △전·현직 주요 언론인 포섭 및 교류 △서울을 포함한 전국 주요 대학에 공자학원 설립 및 운영 △자매 도시 결연 등 다양한 소프트파워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중공이 각국에 영향력을 확장하는 대표적인 접근 경로로 공자학원과 같은 문화·예술 수단을 사용하는 ‘소프트파워’, 경제·군사력 같은 ‘하드파워’, 자금 대출을 빌미로 각국에 경제·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부채함정 외교’ 등을 꼽았다.
특히 한국 등 경제 선진국에 대해서는 ‘소프트파워’ 기법을 적극 구사하고 있다고 짚었다.
중공은 자국에 대한 언론·자유 정보는 철저히 차단하지만 외국 언론인들에게는 ‘언론 협력’을 가장해 각종 행사와 편의를 제공하면서 자신들에게 우호적인 여론을 조성하려 하고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공은 2002~2017년 동아시아태평양 지역 언론인을 초청하는 미디어 행사를 82차례나 개최했다. 그중 41%는 한국과 일본,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이 대상이었다.
세부적으로는 언론인 교류, 콘텐츠 공유 파트너십, 외부인 칼럼 기고 및 인터뷰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국에 유리한 내러티브(narrative·사고방식과 논리) 확산을 시도했다.
보고서는 “중공 관영 언론기관은 이런 방식으로 2000년부터 2017년까지 동아태 국가 언론사와 73개 파트너십을 멪었다”고 밝혔다.
■ 다양한 침투 수법
보고서는 공자학원을 앞세운 중공의 공공외교 공세에도 주목했다.
중공은 특히 한국, 호주, 일본 등 경제 선진국에서 다른 지역 보다 훨씬 많은 공자학원 개설 및 운영, 자매 도시 결연, 고위 인사 공식 방문 등을 시도했다.
이는 △공산 독재 체제에 대한 독립적이고 객관적인 연구와 비판을 봉쇄하고 △친중(親中) 인사들을 대거 조직해 중공을 미화·홍보하려는 정치적 목적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맥콜 의원은 별도 성명에서 바이든 행정부가 중공의 이러한 악성 행위에 대해 실질적인 조치를 거부하고 있는 데 대해 우려를 나타내며 “미국은 국제 사회와 함께 중공의 침투에 대응하기 위한 총체적 전략을 마련,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 조선닷컴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