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03(목)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美 언론, 中 SNS 여론전 폭로

디지털뉴스팀  |  2021-12-27
인쇄하기-새창

[SOH] 중국공산당(이하 중공) 정부 당국이 민간 업체를 고용해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상의 여론을 조작하고 반체제 인사에 대한 정보 수집 작업을 벌인 증거가 드러났다고 ‘와이타임스’가 외신을 인용해 23일 보도했다.

 
2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중국 상하이(上海)시 공안국 푸둥(浦東)분국 측이 지난 5월 중국 정부 조달 사이트에 여론 관리를 위한 민간 업체 모집 입찰 공고 관련 문서를 입수해 중공의 SNS 여론전을 폭로했다.

 
그동안 중공이 자국에서는 금지된 트위터와 페이스북, 유튜브 등을 통해 전 세계를 상대로 여론전을 펼치고 있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진 바 있지만, 이번 NYT가 보도한 문건은 중공이 일반인으로 위장된 소셜미디어 계정을 동원하고, 인공지능(AI) 알고리즘 활용 등을 통해 어떻게 여론조작을 하는지 폭로됐다는 점에서 충격을 준다.

 
문건에 따르면, 중공 공안 당국은 “페이스북, 트위터 등 해외 소셜미디어 계정을 수시로 제공해야 한다”면서 “소셜미디어마다 매월 300개의 계정을 제공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을 제시했다.

 
또한 인터넷 여론 조작에 필요한 가짜 계정을 대량으로 보유한 업체를 찾기 위해 신규 계정이 아닌 ‘일정 수 이상의 구독자를 가진 오래된 계정’을 요구했다.


매주 게시물 숫자와 계정의 생존율 등을 평가하며, 계정이 폐쇄되면 즉각 복구해야 한다는 조건도 포함됐다.

 
이와 함께 상하이 공안 당국은 선정된 업체에게 해외 사이트에서 당국이 요구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올려야 하고, 최상단에 게시물이 보일 수 있는 서비스를 매월 최소 10회 제공할 것도 요구했다.

 
그러면서 당국이 지정하는 내용에 대해 2~3분 길이의 영상을 만들어 줄 것과 소셜미디어에 글을 올린 사람의 중국 내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도 요구했다. 


이러한 요구는 그동안 중국 반체제 인사들이 실시간 검열이 이뤄지는 자국 소셜미디어 대신 인터넷 우회 접속 프로그램을 이용해 페이스북, 트위터에 정부에 대한 비판을 올려 왔기 때문에 이를 감안 한 조치로 보인다.

 
상하이 공안 당국의 입찰에서 계약을 따낸 업체는 상하이 자유 무역구에 있는 소프트웨어 회사 ‘상하이 윈린(雲鄰) 통신 기술’로 지난 6월 결정됐다. 


당국은 이 업체에 ‘해외 SNS 계정 등록’과 ‘해외 SNS 계정 위장 및 유지’에 각각 매월 5천 위안(약 93만원), ‘영상 제작‘에 매월 4만 위안(약 746만원), 소셜미디어 계정에 대한 중국 내 정보 수집에 1회당 9800위안(약 183만원) 등의 비용을 책정했다. 


NYT는 “이러한 여론 조작단이 상하이 푸둥분국 뿐만 아니라 중국 전역의 지방정부와 경찰들이 해외 SNS에 영향을 끼치기 위해 유사한 작업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NYT는 이번 보도와 관련해 중공 공안과 해당 업체에 사실 확인을 요청했으나 모두 응답하지 않았고, 해당 문건은 온라인상에서 삭제됐다.


NYT는 “이런 가짜 계정들은 지난 2년간 온라인에서 친중(親中) 게시물 확산을 주도했다”면서, “ 정부의 공식 계정에 ‘좋아요’를 누르거나 공유하고, 정부 정책에 비판적인 소셜미디어 사용자를 공격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NYT는 “중공의 인터넷 통제 기술이 소셜미디어 업체의 AI 알고리즘을 이용할 정도로 정교해졌다”고도 지적했다. 


최근 몇 주간 소셜미디어에서는 장가오리 전 부총리와의 원치 않는 성관계를 폭로한 테니스 선수 펑솨이가 베이징에서 자유롭게 저녁을 먹고, 유소년 테니스 대회에 참석하는 것을 보여주는 게시물의 노출 빈도가 급증했다. 


NYT는 이에 대해 “당국이 펑솨이 사건이 베이징 동계 올림픽 개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여론을 차단하기 위해 AI 알고리즘을 이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중공이 인터넷 여론을 조작하려 한다는 지적은 이미 여러 차례 제기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9월 8일(현지 시간) 미국의 사이버 보안 업체 맨디언트와 구글이 펴낸 보고서를 인용해 “중공이 배후로 추정되는 SNS 계정들이 미국에서 아시아계 인종차별 반대 시위를 선동하고 코로나 바이러스와 관련된 중국 기원설 등에 반대하는 여론 조성에 활용됐다”고 보도했다.
 

WSJ은 특히 “중국 정부 당국이 관여된 것으로 보이는 수천 개의 가짜 계정들이 페이스북, 유튜브, 트위터 등 10여 개 SNS 네트워크에서 아시아계 미국인들을 상대로 인종차별에 항의하는 거리 시위 참여를 독려했다”고 전했다.


이 계정들은 또 △코로나19는 중국이 아닌 미국에서 발원됐다는 주장을 반복하거나 △미국에서 승인된 코로나19 백신의 부작용에 대한 거짓 정보도 확산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2359 中, 탈레반 외교관 파견 승인
한상진 기자
22-04-06
2358 習 측근, 후베이성 당서기 해임
권민호 기자
22-04-01
2357 러 기밀문서... "習, 20차 당대회 전 대만 무력 침공 고....
디지털뉴스팀
22-03-26
2356 中 前 공안부부장, 美서 불법적 공무집행
한상진 기자
22-03-15
2355 전문가 “中, 러시아 국제 고립 이용해 에너지 획득 강화”..
김주혁 기자
22-03-04
2354 홍콩, 해외 인권단체 홈페이지도 차단... 만리방화벽 가....
권민호 기자
22-02-16
2353 美 싱크탱크... “中 파룬궁 탄압도 제노사이드”
한지연 기자
22-02-15
2352 中 관리들... 시진핑 모호한 리더십에 곤혹
디지털뉴스팀
22-02-01
2351 美 언론, 中 SNS 여론전 폭로
디지털뉴스팀
21-12-27
2350 中 유명 사모펀드 총재, 경찰 체포 후 연락 두절
디지털뉴스팀
21-12-18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4,593,202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