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공산당(이하 중공)이 아프가니스탄(이하 아프간) 북부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인접국을 통한 테러리스트 유입 방어에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공은 이슬람 무장조직 탈레반이 아프간을 장악하자 신장(新疆)위구르 지역과 아프가니스탄 접경지대의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아프간 북부 접경국인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 3개국을 통해서도 테러리스트가 자국으로 유입될 수 있어 긴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중공은 지난 18일부터 타지키스탄과 현지 수도 두샨베에서 대테러 훈련을 진행하고 있다.
중공은 신장위구르족 무장단체 ‘동투르키스탄 이슬람 운동(ETIM)’이 같은 수니파인 탈레반을 등에 업고 세력을 확장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왕이 중공 외교부장은 지난달 텔레반의 2인자로 알려진 물라 압둘가니 바라다르를 톈진으로 초청해 고위급 회담을 가졌다.
왕이는 회담에서 “중국은 아프가니스탄의 최대 이웃으로 주권독립과 영토의 완전성을 존중하며 내정에 간섭하지 않겠다”고 바짝 엎드렸다.
그는 또 “탈레반이 ETIM 등 모든 테러 단체와 철저히 선을 긋고 지역의 안정과 발전 협력을 위한 적극적인 역할을 발휘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자오리젠 중공 외교부 대변인도 아프간의 평화 재건을 지지한다면서도 "탈레반이 ETIM을 포함한 각종 테러 단체를 단호히 타격해야 한다"며 테러 단체와 결별할 것을 강조했다.
SCMP는 전문가들을 인용해 중공은 국경 안전을 위해 중앙아시아 인접국들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사회과학원의 미국 전문가 루샹(陸翔)은 “중국은 테러리스트의 유입을 막기 위해 아프간과의 접경지역 100㎞ 내에 군대를 배치했지만, 타지키스탄과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은 약한 고리가 될 수 있어 모든 루트를 차단하기는 역부족일 것”으로 내다봤다.
베이징의 안보 전문가 리웨이(李偉)는 중공이 중앙아시아국가들에 병력을 배치하지 않고 있지만, 러시아 주도의 옛 소련권 안보협력체 ‘집단안보조약기구(CSTO)’가 역내 안보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를 희망했다.
그는 “중국은 아프간 인접국들의 접경지역 안보에 대해 우려하고 있으며, 특히 접경 지대가 넓은 타지키스탄이 다른 나라보다 더 큰 위협에 직면할 수 있다”면서도 “현지에 주둔 중인 러시아군이 안보 문제 우려를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러시아는 타지키스탄 주둔 자국군 전력을 활용해 CSTO 동맹국들에 대한 어떠한 공세도 용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으며, 올 여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과 군사훈련도 진행했다.
싱가포르 라자라트남 국제연구원(RSIS)의 라파엘로 판투치 연구원에 따르면, 중공은 아프간과의 국경 경비를 강화했고 파키스탄과 타지키스탄 측 접경지대 경비대에 대한 지원도 제공했다.
그러나 산악 전투나 대테러 작전에 대한 경험이 부족해 구체적으로 무엇을 제안할 수 있을지는 불분명하다.
권민호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