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백신의 정치화를 반대한다고 주장해온 중국이 자국산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홍콩을 통해 입국하는 외국인에게 비자 발급 절차를 간소화하기로 해 ‘백신의 정치화’에 앞장서고 있다는 비난이 일 것으로 보인다.
1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 외교부 홍콩 주재 사무소는 지난 12일 홈페이지를 통해 15일부터 시노백 등 자국산 코로나 백신 접종 후 홍콩을 통해 입국하는 외국인들의 비자 발급 절차를 간소화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업무 목적으로 중국을 방문하려는 외국인 가운데 중국 백신을 2회 접종하거나 비자 신청일로부터 14일 이내에 1회 접종한 사람은 코로나19 핵산 검사 증명서와 건강 및 여행기록 증명서를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
중국은 현재 외국인에 대해 72시간 내의 코로나19 핵산 검사 음성 증명서 등을 제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자국민이나 홍콩인이 아닌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며, 접종 백신을 중국산으로만 한정했다.
중국은 앞서 미국 등 서방국가에 대해 ‘백신 정치화’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줄곧 밝혀왔지만, 자국 백신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출입국에도 차별을 두는 등 ‘백신의 정치화’에 앞장서고 있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외교부 자오리젠 대변인이 불과 이틀 전인 지난 10일 ‘백신 정치화’에 반대한다고 밝혔지만, 내부적으로는 백신의 정치화 정책을 진행 중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자오리젠 대변인은 지난 10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의 백신 개발은 개도국의 백신 접근을 높이고 부담을 줄였다”며, “백신 민족주의와 면역 장벽을 만드는 것은 물론 백신을 정치화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반대한다”고 말한 바 있다.
중국이 ‘백신 정치화’로 자국산 백신 수요를 확대할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개인의 건강 정보가 다른 나라로 넘어가는 것에 저항이 있을 수도 있으며, 효과가 서로 다른 백신을 각국이 상호 인정해 주겠느냐는 것도 변수다.
현재 대다수 서방국들은 중국의 제약업체들이 백신 임상시험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는 데다 부작용 사례도 이어지고 있어 중국산 코로나19 백신을 아직 승인하지 않고 있다.
구본석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