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이 코로나19(우한폐렴) 사태 책임을 두고 미국과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중국 정부가 학계의 우한폐렴 발원지 연구에 대한 통제에 나섰다.
13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중국 상하이 푸단대학과 우한의 지질대학교 홈페이지에는 우한폐렴 발원에 대한 학술논문 심의에 대한 새로운 지침이 발표됐다.
교육부 과학기술과가 발표한 이 지침에 따르면 우한폐렴 발원 관련 논문은 앞으로 대학 내 학술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교육부 과학기술과와 국무원 산하 태스크포스(TF)팀의 심의를 거쳐야 하며, TF의 회신을 받은 논문에 한해서만 출판이 가능하다.
CNN은 익명을 요구한 중국 정부 관계자를 통해 교육부에서 실제 이 같은 지침이 내려진 사실을 확인했다.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지침은 공개가 금지된 내부 문서다. 현재 이 공지문은 해당 사이트에서 삭제된 상태다.
교육부의 이번 지침은 중국이 우한폐렴 발원 책임을 벗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중국 정부와 관영 언론은 그동안 우한폐렴 발원에 대해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는 입장을 계속해왔다.
지난 3월에는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트위터를 통해 “우한폐렴 사태는 미국에서 시작됐으며, 중국에 바이러스를 처음 퍼뜨린 것은 미군”이라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연구자는 “중국은 우한폐렴 발원 책임을 미국 등 타국에 떠넘기며 자국의 책임을 극구 부인하고 있기 때문에, 당국의 ‘뜻’에 맞지 않은 연구들은 모두 출판이 제한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익명을 요구한 다른 연구원은 “중국에서 나온 대부분의 연구 결과들은 당국의 확인을 거친 것”이라면서 “독립적 과학 연구와 최종 출간물 사이에 추가적인 단계(당국의 검열)가 반드시 존재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출판된 우한폐렴 관련 논문들도 중국 당국의 검열을 거친 것이라는 증언도 나왔다.
왕란 중국 역학저널 편집장은 “우한폐렴 관련 논문들은 모두 3개 기관의 승인을 받아왔다”면서, “그것은 매우 긴 과정”이라고 말했다.
이연화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