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권력 독주로 2인자로서의 입지를 잃었던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가 최근 들어 공개 행보를 넓히고 있다.
이에 대해, 최근 무역전쟁과 경기 감축, 불량 백신, 금융 도산 스캔들 등 내우외환이 잇따르면서 시 주석에 대한 비난이 급증한 데 따른 일종의 ‘책임 분산’ 의도가 있다는 관측이 일고 있다.
미국의 관세 공격 장기화로 중국 경제가 점점 타격을 받으면서 지식인층과 공산당 내부에서 시 주석을 겨냥한 책임론과 비난 등을 분산시키기 위해 최근 리 총리의 행보를 표면화 한다는 분석이다.
리 총리는 지난달 24일 국무원 상무위원회 회의를 주재하고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에 대비해 내수 확대를 위한 재정 및 금융정책 강화 등 경기부양책을 내놨다.
다음 날인 25일부터 27일까지는 같은 달 말에는 최고 지도부로서는 1990년 이래 처음으로 티베트 자치구를 방문해 우잉제(吳英杰) 시짱자치구 공산당 서기와 함께 라싸(拉薩), 린즈(林芝) 등지의 경제·사회 발전 상황을 살펴본 뒤 중국 모든 민족의 단결을 호소했다.
리 총리는 지난해 10월 제19차 공산당대회 이후 시 주석의 장기집권 구축 확보로 권력 핵심에서 철저히 소외돼 왔다. 총리의 주요 권한인 경제정책 주도권마저도 시 주석의 책사인 류허(劉鶴) 부총리에게 넘어가 사실상 위상이 추락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또 중국 정부망이 지난달 28일 공시한 내부문건에 따르면, 리 총리는 개편된 당정기구인 ‘국무원 판공청 국가과기 영도소조’의 조장으로 취임했다.
이 소조는 기존의 ‘국가과기 교육영도 소조’를 개편한 것으로 국가 과학기술 발전전략과 계획, 중대정책을 연구와 심의하고 중요한 과학기술 임무와 중대 사업을 토론 및 심의한다.
이 같은 리 총리의 활동 강화에 대해 일부 외교소식통들은 “시 주석의 권력 기반은 아직 굳건하다고 볼 수 있지만, 미중 무역전쟁 여파 등으로 책임론과 비난이 집중되는 것을 막기 위한 의도가 다분히 내재됐을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사진: NEWSIS)
이연화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