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04(금)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SOH 이슈] 이기적인 一带一路가 촉발한 對中 테러

미디어뉴스팀  |  2021-08-07
인쇄하기-새창



▲ [사진=SOH 자료실]


7월 14일 대표적인 친중 국가인 파키스탄에서 중국인을 겨냥한 테러가 발생했다.


파키스탄 북부 카이버-파크툰그와주에서 버스가 폭발과 함께 계곡 아래로 추락해 버스에 타고 있던 13명이 숨지고 38명이 다쳤다.


사망자 9명과 부상자 28명 등 피해자 대부분은 중국인으로, 이들은 중국이 일대일로(一带一路·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해상 경제영토 확장사업)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파키스탄에 짓고 있는 다수(Dasu) 댐 건설 현장으로 출근하던 중국 파견 근로자들로 알려졌다.


이에 중국은 자국인을 노린 조직적 테러 사건으로 규정하고 테러범 색출을 위한 수사팀을 직접 파견했다.


17일 자오커즈 중국 국무위원 겸 공안부장은 셰이크 라시드 아흐마드 파키스탄 내무장관과 긴급 통화를 갖고 양국 수사팀이 협조해 테러의 배후 조직을 밝혀내 엄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테러가 발생한 곳은 중국의 국영 건설회사 거저우바 그룹이 진행 중인 19억 달러(약 2조 1700억원) 규모의 다수 댐 수력발전소 현장 근처다.


파키스탄 수도 이슬라마바드에서 약 350km 떨어진 곳에 건설 중인 다수 댐은 일대일로의 대표 프로젝트인 총 공사비 620억 달러(70조 7420억원) 규모의 중국-파키스탄 경제 회랑(CPEC)의 하나다.


2017년 시공, 2025년 완공을 목표로 건설 중이며, 임란 칸 파키스탄 총리가 지난 6월 공사 현장을 시찰했을 정도로 파키스탄 정부가 중시하는 사업이다.


첸펑 칭화대 국가전략연구원 교수는 “그동안 파키스탄 정부군의 공격에 잠잠했던 파키스탄텔레반(TTP)이 최근 미국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철군하자 이 나라 국경 일대에서 활동을 빠르게 늘리고 있다”며, “그러나 이번 버스 테러는 범행을 자행하는 조직이 없다는 점에서 단순 테러 사건이 아닌 제3세력 즉 파키스탄 내 반중 단체의 개입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환구시보에 말했다.


■ 중국에 대한 분노 확산시킨 일대일로


외신들은 대표적인 친중 국가인 파키스탄에서 중국 대상의 테러가 발생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이는 모두 ‘일대일로의 폐해’라고 지적했다.


일대일로 인해 빚더미에 빠진 국가에서 끊임없이 반중 정서가 심화되고 있고 그 가운데 가장 큰 피해국이 아이러니하게도 대표적 친중 국가인 파키스탄이기 때문이다.


현재 극심한 경제 위기를 겪고 있는 파키스탄은 중국에 일대일로 프로젝트 관련 채무에 대해 감면 요청을 보냈다.


파키스탄은 만성적인 전기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지난 몇 년간 중국 자본의 지원 속에 여러 발전소를 지어왔다. 그러나 상황이 나아지기는 커녕 오히려 경제가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빚이 불어났다.


특히 발전설비는 과잉 수준으로 늘어나 정부는 시설을 가동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보조금을 지원해야 했다.


파키스탄은 중국과 2015년부터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카스에서 파키스탄 남부 과다르항까지 3천km에 이르는 도로와 철도, 에너지망 등을 구축하기로 합의하는 등 대규모 인프라 사업을 추진해왔는데, 이 와중에 파키스탄 정부는 1년 사이 160억 달러(약 17조 8천억원) 규모의 빚을 새롭게 졌다.


이처럼 중국과의 일대일로로 국가의 경제가 위험한 상황이 직면하자, 시민들의 반중 시위가 속속 일어나고 있고, 급진적 무장단체들은 과감히 무력 충돌까지 벌이고 있다.


시진핑 중공 총서기는 파키스탄에서 벌어진 자국민 테러에 대해 책임 규명을 거론했고, 리커창 총리도 16일 칸 총리와 통화를 갖고 “중국 조사팀을 이미 파키스탄에 파견했다”며, “파키스탄은 이에 적극 협조해 모든 수단을 동원해 책임지고 진상을 규명해 테러범을 법에 따라 엄벌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 對中 테러... 中 붕괴 촉발할 수도


해외 중국인 피살을 놓고 시진핑을 위시한 중공 수뇌부가 총출동한 것은 그만큼 중공이 이번 사건을 심각하게 보고 있다는 방증이다.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게릴라에 특화된 테러는 사전에 조치를 취하기 매우 어려우며, 독재 지도자를 제거하기 위한 가장 위협적인 수단이므로 중국 외부에서 발생하는 테러에 중국이 대처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면 이는 곧 베이징 자금성에서도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개연성을 가지게 된다”고 지적했다. 즉 시진핑도 자신의 안전에 대해 엄청난 압박을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파키스탄에서는 지난 4월에도 중국인을 겨냥한 테러가 발생했다.


지난 4월 21에는 파키스탄 남서부 발루치스탄주 수도인 퀘타의 한 호텔에서 자살 차량 테러가 발생해 4명 이상이 사망했다.


사건 당시 눙룽 주파키스탄 중국대사가 현지를 방문 중이어서 중국 대사를 노린 테러라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이처럼 중국의 서부 국경 지대가 불안해지자 왕이 외교부장의 행보가 빨라졌다.


왕이는 지난 12일 4박 5일 일정으로 투르크메니스탄과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을 순방했다.


왕이는 14일 타지키스탄 수도 두샨베에서 열린 ‘상하이협력기구(SCO)-아프가니스탄 연락 그룹’ 외교장관 회담에 참석해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 등과 미군이 철수한 아프간의 질서 유지 방안을 논의했다.


최근 미군이 아프간에서 공식 철수하면서 아프간의 80%를 텔레반이 장악했고 그들은 무슬림을 핍박하는 중국을 주적으로 삼았다.


왕이는 중앙아시아 순방을 마친 후 귀국하지 못한 채 17일부터 20일까지 다시 3박 4일 일정으로 시리아, 이집트, 알제리 등 중동 3국을 방문했다. 이는 중앙아시아와 중동의 극단주의 세력이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연계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첸펑 교수는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에 “파키스탄 버스 테러 사고는 시진핑 주석이 글로벌 인프라 프로젝트인 일대일로에 참여하는 중국 기업이 사상자 발생 위험에 대비해 ‘정신적 준비를 하도록 상기시켰다”며, ”현지 테러 조직의 확산을 막기 위해 현지 정부와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 ‘부채 폭탄’으로 전락한 일대일로


한편, 파키스탄과 더불어 일대일로에 참가하고 있는 모든 국가들은 부채 폭탄을 떠안고 있다.


일대일로는 전체적인 계획은 있어도 세부적으로 빈약한 부분이 많이 노출되기도 하는데, 이는 국민의 필요가 아닌 정치 세력의 필요에 의해 추진된 것이 많기 때문이다.


라오스는 파키스탄에 이어 두 번째로 부채 위험이 높은 나라다. 중국-라오스 간 철도 건설 비용을 포함해 국내총생산(GDP)의 절반 가량인 67억 달러를 중국에서 차입했다.


이에 대해 국제통화기금(IMF)은 라오스에 부채 상환이 어려울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과 국경을 나란히 하는 키르기스스탄도 일대일로 사업에 따른 인프라 건설로 국가부채 규모가 GDP 대비 78% 수준까지 늘어났다. 일대일로 사업 참여 이전의 58%에 비해 20%나 증가한 것.


이에  키르기스스탄에서는 연일 반중 시위가 발생하고 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17일(현지시간) 키르기스스탄 수도 비슈케크 중앙광장에서는 시민 수천 명이 모여 △중국에 대한 채무 축소 △중국인에 대한 취업허가 억제 △중국인과의 결혼 금지 △신장 위구르 무슬림 탄압 중지 등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로이터는 이에 대해 “중국의 영향력에 반대하는 중앙아시아 최대 규모의 공개 시위”라고 전했다.


앞서 키르기스스탄에서는 지난 2016년 자살 폭탄 테러가 발생해 중국 대사관 직원 3명이 부상하기도 할 만큼 이미 수년 전 전부터 반중 정서가 확산했다.


일대일로의 또 다른 피해 국가인 지부티는 중국에 진 빚이 GDP 대비 91%에 이른다. 일대일로 사업 참여 이전의 62%보다 30% 포인트 가까이 높아졌다.


역시 일대일로에 참여하고 있는 캄보디아와 아프가니스탄도 조만간 대외 채무의 절반 이상을 중국 자본이 차지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일대일로에 따른 스리랑카의 부채 위기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마힌다 라자팍사 전 스리랑카 대통령은 기존의 재원조달 창구였던 아시아개발은행(ADB)과 IMF에 손을 벌리는 대신 중국으로부터 대규모 차관을 도입해 인프라에 투자했다.


남부 함반토타 항구는 2010년 중국의 자금 지원을 받아 지어졌다. 그러나 항의 이용률이 낮아 적자가 쌓이자 스리랑카 항만공사는 2016년 지분 80%를 중국 국유 항만기업 자오상쥐에 매각하고 99년간 항구 운영권을 넘겼다.


몰디브도 일대일로 채무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나시드 몰디브 전 대통령은 중국이 야민 정권 하에서 “16개 이상의 섬들을 사들였다”고 말하면서 “채무상환이 시작되고 제 때 갚지 못하면 몰디브가 중국 손에 넘어 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몰디브 정부는 채무상환이 시작되고 제 때 갚지 못하면 중국은 섬과 몰디브 인프라 운영회사의 주식을 요구하는 방법으로 몰디브 자체를 탈취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여기에 최근 중국 해군 함정들이 항구에 정박하는 사례가 크게 늘기도 했다.


몰디브 전 대통령은 “각 섬에 항만을 정비하면 ‘군항화’하기는 아주 쉽다”면서 중국 인민해방군의 주둔배치에 경계심을 나타냈다.


중공의 항만 군항화는 이미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다.


2020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 입법기관인 전국인민대표는 조직과 통일, 영토 그리고 발전 뿐 아니라 ‘발전 이익’이 위협받을 경우에도 국방력을 동원할 수 있도록 변경한 국방법 개정안 초안을 공표했다.


외국에서 중공이 운영 중인 항만이 무역 봉쇄로 타격을 받거나, 일대일로 구상을 포함한 해외 경제 활동이 국지적 분쟁이나 봉쇄 등으로 차단되면 군사력 동원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이는 타국 영토를 자국 영토로 간주해서 군함 등을 보내겠다는 것으로 상대국 주권을 상당히 간섭할 소지가 있다.


항구와 항만 운영권에 집착하는 중공은 세계 주요 무역로에 해군을 배치해 자국의 해상 영향력을 확대하고 미국과 동맹국들의 항해를 억제하려는 수단으로 사용하려는 것이다.


일대일로에 참여하는 국가들이 더 이상 중국의 만행에 참지 못하고 반기를 드는 상황 속에서 지난 6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주요 7개국(G7) 회의에서 중공의 일대일로를 견제하기 위한 개발도상국 인프라 지원 계획을 제시했으며, 같은 시각 백악관도 'B3W(Build back better world)'라는 이름의 미국판 일대일로 프로젝트를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미국판 일대일로를 통해 현재 전 세계에 들끓는 반중 정서를 극대화하고 중국의 전 세계적 고립을 구체화 하겠다는 것이다.


한국을 포함한 자유진영 선진국들의 대규모 인프라 사업을 통해 중공은 그나마 유지하고 있던 우호국들에게도 손절당하여 완전한 전 세계적 고립 단계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제 전 세계는 중공 일대일로의 검은 실체를 간파하고 있다. 중공은 겉으로는 대국 행세를 하며 약소국에 도움을 주는 척하지만 실상은 약소국들의 고혈을 짜내며 자금을 강탈하고 있다. / 리얼리즘



미디어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2379 [SOH 이슈] 中 對民 전 방위 탄압... 교육·문화·기업 꼼....
디지털뉴스팀
21-08-19
2378 [SOH 이슈] 아프가니스탄 美軍 철수의 빅 피처... 탈레....
박정진 기자
21-08-08
2377 [SOH 이슈] 이기적인 一带一路가 촉발한 對中 테러
미디어뉴스팀
21-08-07
2376 [이슈TV] 홍수 재난에 증시 폭락까지... 中 대재난은 인....
편집부
21-08-05
2375 [SOH 이슈] 中 경제 붕괴, 무엇이 문제인가?
디지털뉴스팀
21-08-04
2374 정저우 대홍수 '명백한 人災 · 天滅中共 암시'... 왜?
구본석 기자
21-07-25
2373 前 중앙당교 교수 習 신랄 비판... “독재와 억압으로 중....
디지털뉴스팀
21-07-10
2372 [SOH 이슈] 中 최악의 전력난은 '전량외교 부메랑'
디지털뉴스팀
21-07-09
2371 [SOH 이슈] 中 코로나 백신의 비밀
디지털뉴스팀
21-06-29
2370 [영상] 베이징, 창당 100주년 앞두고 역대급 기상이변......
구본석 기자
21-06-27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4,634,321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