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공산당(이하 중공)의 양심수에 대한 강제 장기적출 탄압을 주제로 한 '2020 포스터 공모전 - Stop Organ Harvesting In China'의 수상작이 발표됐다.
이번 공모전에는 세계 각국의 디자이너들이 다양한 포스터 작품을 통해 중공의 강제 장기적출 만행을 폭로하고 이를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전 세계 그래픽 디자이너들을 대상으로 한 이번 공모전에는 70개국에서 모두 1049점이 출품됐다.
참가자들은 ‘전대미문의 사악한 만행’으로 지탄받고 있는 중공의 강제 장기적출 만행 상황을 다양한 작품을 통해 전 세계에 알리고자 했다.
이번 공모전 시상식은 지난 16일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됐다.
당시 행사에는 6·4 천안문 학생운동을 이끈 인물이자 중공에 탄압받는 위구르족 출신의 우얼카이시(吾爾開希)가 참석해 디자이너들이 중공의 인권탄압에 관심을 보여준 데 대해 감사를 전했다.
그는 “중국인에 대한 중공의 탄압은 정치적, 사상적 한계를 넘어 인간의 신체를 겨냥하고 있다”면서 강제 장기적출이라는 천인공로할 악행에 대한 전 세계인들의 각성을 호소했다.
시상식 심사위원단은 그래픽디자인의 세계적 거장 시모어 쿼스트, 윤호섭 국민대 명예교수(시각디자인학) 등 6개국 11명의 디자이너들로 구성됐다.
이들은 출품작들에 대해 “표현하기 어려운 끔찍한 주제를 미적·조형적으로 잘 표현해 냈다”고 평가했다.
수상자들도 소감을 밝혔다.
금상을 수상한 이란 디자이너 바흐람 가라비 만질리는 “이번 공모전 참가는 예술적·디자인적 시각에 관계될 뿐 아니라, 우리의 인도주의적 시각을 시험하는 시험대”라고 말했다.
그는 “일반적으로 수술 후에는 신체에 자국이나 흉터가 남는다. 이 수술은 신념과 의견이 다른 사람들의 장기를 적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람의 육신뿐 아니라 '인간성‘이라는 정신적 영역에도 서로 다른 흉터를 남긴다”고 지적했다.
바흐람 가라비 만질리는 자신의 작품에 대해 “반인륜적 행위의 과정을 수술의 실밥자국으로 형상화했다”고 설명했다.
은상을 수상자인 일본의 오하시린은 “오늘날 중국에서는 수만 명의 어린이들이 일상적으로 장기적출 납치의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아이들의 시체는 장기가 모두 적출된 상태로 발견된다. 부모들은 범인조차 잡을 수 없는 상황에서 평생 비통해 한다”면서, “그러나 이러한 범죄는 외부로 잘 알려지지 못하기 때문에 작품을 통해서라도 실상을 알리고자 했다”고 말했다.
동상작을 출품한 브라질 VVE 디자인 스튜디오 관계자는 “중공기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별)를 제거함으로써 국가에 의해 장기를 강제 적출당한 이들의 고통을 표현코자 했다”며, “훼손된 중공기는 강제 장기적출이 인민들에게 가한 폭력성, 그들의 정체성과 존재 자체가 위협받는 상황을 암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전을 공동 주최한 한국장기이식윤리협회(KAEOT), 대만 국제장기이식관리협회(TAICOT), 일본 SMG 네트워크 등은 앞으로 온·오프라인 전시회를 통해 수상작품들을 알리고, 중공의 강제 장기적출 만행의 심각성을 대중과 공유할 예정이다.
강주연 인턴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